남침례회, 여성 목사 금지 헌법 개정안 또다시 부결 > 뉴스

본문 바로가기


뉴스

남침례회, 여성 목사 금지 헌법 개정안 또다시 부결

페이지 정보

탑2ㆍ2025-06-12 05:21

본문

[기사요약] 미국 최대 개신교단인 남침례회가 여성 목사를 금지하는 헌법 개정안을 2년 연속 부결시켰다.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필요했지만, 61%의 지지를 얻는 데 그쳤다. 이번 결정은 교단의 정체성과 개교회의 자율성 사이의 오랜 논쟁을 다시 한번 보여주었으며, 교단 내 다양한 목소리가 공존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667c921e32cc14cc71752ba6b7fc993a_1749720058_7.jpg
▲여성 목사 금지안, 2년 연속 문턱 못 넘어 (AI 생성사진)

 

미국 최대 개신교단인 남침례회(SBC)가 12일, 여성 담임목사 및 장로직을 금지하는 헌법 개정안을 최종 투표에서 부결시켰다. 이로써 2년 연속 동일한 안건이 부결되며 교단 내 여성 목회자 안수 문제에 대한 깊은 고민을 다시 한번 드러냈다.

 

이번 총회에서 해당 안건은 전체 대의원 투표에서 61%의 찬성을 얻었지만, 헌법 개정에 필요한 3분의 2(약 67%)의 지지를 확보하지 못해 문턱을 넘지 못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비슷한 결과가 나오면서 교단 내에서 이 문제를 둘러싼 의견 차이가 여전히 팽팽함을 보여주었다.

 

남침례회는 전통적으로 남성과 여성의 역할을 구분하는 '보완주의(complementarianism)' 신학을 견지해왔다. 이러한 신학적 입장에 따라 일부에서는 여성 목사를 금지하는 조항을 교단 헌법에 명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개정안 발의저는 "이 조항은 침례교의 원칙을 분명히 하고 교단에 명확성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반면, 개정안에 반대하는 이들은 이것이 교회의 자율성을 침해하고 교단의 중요한 사명에서 주의를 흩트리는 불필요한 논쟁이라고 맞섰다. 

 

이 논쟁은 단순히 헌법 조항 하나를 바꾸는 문제를 넘어, 교단의 정체성과 방향성에 대한 깊은 성찰을 담고 있다. 여성 목사를 안수한 캘리포니아의 새들백교회, 켄터키의 펀크릭 침례교회 등이 이미 교단에서 제명되었고, 사우스캐롤라이나의 뉴스프링 교회와 같이 자발적으로 교단을 탈퇴하는 교회들도 생겨났다.

 

플로리다 포트마이어스 노스사이드 침례교회의 알렉산더 오덤 목사는 "목사직에 대한 우리의 성경적 신념에서 도망칠 이유가 없다"며, 2022년 새들백교회 제명 추천을 위원회가 처음에는 주저했던 사례를 들며 교단 헌법에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번 투표 결과는 1,270만 명에 달하는 교인 수를 보유한 남침례회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신학적 견해와 목회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교단의 정체성을 지키려는 노력과 각 교회의 자율성을 존중하려는 입장이 계속해서 논의의 중심에 서게 될 전망이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로제

뉴스 목록

Total 11,645건 1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미 IRS, "교회 강단서 정치 후보 지지 가능" 입장 밝혀 새글 2025-07-07
한준희 뉴욕목사회 회장 “표류하는 기독교, 복음의 본질을 되찾을 때” 새글 2025-07-07
뉴저지·필라 달군 장태규 교수의 창의 교육, 새로운 길을 열다 새글 2025-07-07
텍사스 대홍수, 절망 속 피어나는 교회의 사랑! 한인교회도 동참해야 새글 2025-07-07
뉴욕센트럴교회 독립기념일 축제 "하나님 안에서 누리는 참된 자유" 새글 2025-07-07
미국 교회들의 새로운 시도, ‘영적 조부모’가 되어주세요 새글 2025-07-07
동성결혼은 OK, 성별 다양성은 NO… 미국 사회의 딜레마 댓글(1) 새글 2025-07-05
퀸즈장로교회 여름수련회 “전도의 대상이 아닌 사랑의 대상으로 다가가라” 새글 2025-07-05
미국의 독립기념일, 퀴즈로 푸는 미국 독립과 기독교 신앙 2025-07-04
미국 독립선언서, 정치 문서를 넘어선 건국의 신앙 고백서 2025-07-03
미주 한인 정체성을 새로운 관점으로 열다, '미국 건국정신'으로 다시 서… 2025-07-03
미국 기독교의 위기, ‘거짓’이 아닌 ‘불필요’의 시대 2025-07-03
"성경이 기준" 김지연 약사, 다음세대 위한 성 가치관 제시 2025-07-03
토마스 제퍼슨 센터, ‘1776 리포트’ 한국어 번역본 출간 / AI와 … 2025-07-02
“부모가 깨어날 때, 가정이 산다” 뉴욕베델교회 VBS 현장 (1) 2025-07-02
예장백석 미주동부노회, 양재진 목사 임직예배 “아버지 가신 길을 따를터” 댓글(1) 2025-07-02
내 마음의 쉼터, 온라인으로 만나는 한인 전문 상담가 2025-07-01
'오징어 게임' 시즌 3, 기독교적 상징으로 풀어낸 메시지 2025-07-01
하나님의성회 뉴욕신학대학원, 제45회 졸업식 통해 5명이 사명의 길로 출… 2025-07-01
고택원 목사 “하나님 때문에 제 인생이 너무 행복합니다!” 2025-06-30
가정예배, 무너진 세대와 세상을 잇는 희망의 시작 2025-06-30
양극화 시대의 교회 내 갈등, 싸움 대신 변화를 추구하는 6가지 영적 습… 2025-06-30
케리그마 남성중창단, 15주년 감사 찬양 콘서트 ‘영광’을 외치다 2025-06-30
동부개혁장로회신학교 김미강 졸업생 대표 "신학은 사랑, 실천으로 증명할 … 2025-06-29
베이사이드장로교회 VBS, 여름의 시작을 성경의 축제로 열다 2025-06-28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