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만수 김정준 목사 44주기 추모 행사, 말씀과 학문으로 그의 삶을 기리다 > 뉴스

본문 바로가기


뉴스

고 만수 김정준 목사 44주기 추모 행사, 말씀과 학문으로 그의 삶을 기리다

페이지 정보

탑2ㆍ2025-05-18 03:33

본문

[기사요약] 고(故) 만수 김정준 목사의 제44주기 추모행사가 5월 15일 뉴욕 예닮원에서 열렸다. 예배, 강연, 출판기념회로 진행된 이날 행사는 김 목사의 경건한 삶과 '임마누엘' 신앙, 그리고 한국 교회와 신학계에 남긴 깊은 족적을 재조명했다.

 

a66abd3166a75849cde1588c18c0f818_1747553497_44.jpg

고(故) 만수(晩穗) 김정준 목사의 제44주기 추모예배 및 강연, 출판기념회가 2025년 5월 15일 목요일 오전 11시 33분 뉴저지 예닮원에서 열렸다. 이번 행사는 연세대 연합신학대학원 뉴욕동문회, 연세대 신과대학 뉴욕동문회, 한신대 시카고와 뉴욕동문회, 미동부 성남교회 출신 교우들, 그리고 미동부 연목회(연세대출신 목회자연합회)가 함께 준비하여 고인의 뜻을 기렸다.

 

추모예배는 장재웅 목사(93 연신원 졸업)의 사회와 장은경 사모의 반주로 진행됐다. 묵상기도와 찬송 후 박성원 목사(연신원 뉴욕동문회장)가 기도했고, 안창애 선생(66 연신원 졸)이 창세기 1장 1절을 성경봉독했다. 황진호 선생(95 연대음대 성악)의 특송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에 이어 김길홍 목사(72 한신대 졸업)가 "지구를 살리신 하나님"이라는 제목으로 말씀을 전했다.

 

고인을 기리는 영상이 상영됐으며, 김현숙 박사(연세대 신과대학장/연신원원장), 황용대 목사(한국기독교장로회 증경총회장), 이희철 박사(God's Will 연합교회, 구약전공), 김남중 박사(클레어몬트 신학대학원 교수) 등이 고인을 추모하는 순서를 맡았다. 임낙길 선교사(77 한신대 졸업)와 정봉금 사모가 특순으로 "언제나 바라봐도"를 찬양했다.

 

이어 강연과 서평 시간이 진행됐다. 황현조 박사(WPC 세계예수교장로회 총회장)는 "고난과 경건의 목회적 신학자, 김정준 박사"라는 주제로 강연했고, 노순구 박사(두나미스 신학대학원 교수)는 "시편 명상"에 대한 서평을 진행했다. 유족을 대표하여 차남 김영석 목사가 감사 인사를 전했고, 김영호 목사(66 한신, 68 연신원 졸업)의 광고 후 송병기 목사(69 연대신학과)의 축도로 모든 순서가 마무리됐다.

 

이번 추모 행사에서는 고인관련 저서 '시편명상'과 '관에서 나온 사나이'도 접수대에서 책을 구매할 수 있었으며, 추가 문의는 전화(718-213-8645)로 가능하다.

 

만수(晩穗) 김정준 목사는 한국 교회사에 깊은 족적을 남긴 신학자이자 목회자였다. 그의 삶은 하나님의 말씀을 깊이 연구하고 가르치며, 동시에 성도들을 사랑으로 섬긴 여정 그 자체였다. 그는 암울했던 시대적 상황 속에서도 신앙의 순수성과 학문적 깊이를 잃지 않으려 노력했으며, 그의 가르침과 삶은 많은 이들에게 큰 감동과 도전을 주었다.

 

"우리 안에 해같이 빛나고": 만수를 기리는 시

 

지난 2014년 김정준 목사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진행된 행사내용이 소개됐다. 김창길 목사(신학과 66, 연신원)는 "우리 안에 해같이 빛나고"라는 제목의 시를 통해 스승을 향한 존경과 그리움을 표현했다. 시는 고인이 강단에 설 때마다 펼쳐내던 심오한 구속사의 강론과 문학적 감성으로 풀어낸 시가서 강의를 생생하게 묘사하며, 그의 가르침이 세대를 향한 예언자적 외침이었음을 전한다.

 

시는 또한 고인이 평생 병고와 번뇌 속에서도 올곧은 믿음을 지키며 가난한 자의 모습으로 낮아져 살았음을 증언한다. 예언자로서 외롭고 당찬 길을 걸었던 그의 삶은 암울한 조국에 진리의 빛을 비추고, 무지한 백성을 말씀으로 깨우치며, 교회와 성도를 하나님의 사랑(헤쎄드)으로 감싸 안은 여정이었다고 회고한다.

 

시간이 흐를수록 고인의 가르침은 더욱 선명하게 빛나며, 그가 뿌린 신앙과 신학의 씨앗이 이제 한국교회를 넘어 세계교회에 풍성한 열매를 맺을 것이라는 희망을 노래한다. 시는 고인의 경건한 영혼에서 울려 퍼졌던 찬양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우리 안에 살아 숨 쉬고 있음을 느끼게 한다.

 

a66abd3166a75849cde1588c18c0f818_1747553586_72.jpg
 

노영찬 박사가 본 김정준 신학의 세계적 가치

 

지난 2014년 김정준 목사 탄생 100주년 기념 강연에서 노영찬 박사(당시 조지메이슨 대학교 종교철학 교수)는 김 목사의 신학을 세 가지 관점에서 조명하며 세계 신학계에 자랑스럽게 제시할 수 있다고 밝혔다.

 

첫째, 김 목사는 구약성서학자의 틀을 넘어 인간 고통의 문제와 삶의 의미를 깊이 탐구한 폭넓은 신학자였다. 그는 기독교 신앙 이전부터 한국 역사와 민중의 삶 속에 내재한 고통의 해석과 승화의 경험을 깊이 이해했다.

 

둘째, 김 목사는 단순한 학문적 접근을 넘어 한국인의 '한(恨)'의 정서를 실제적으로 풀어내기 위해 노력한 토착화 신학자이자 민중을 위한 신학자였다. 그는 머리로만 이해하는 신학이 아닌, 가슴으로 느끼고 표현하는 신학을 추구하며 직접 한국적 시를 짓고 작사하는 실천을 보여주었다. 이는 그의 신학이 삶의 현장과 깊이 연결되어 있음을 드러낸다.

 

셋째, 김 목사에게 삶과 학문은 분리될 수 없는 하나였다. 목회 활동, 마산결핵요양소에서의 투병 생활과 병원 목회 경험 등 그의 모든 삶의 여정은 학문과 경건의 깊이를 더하는 과정이었다. 그는 현대적 학문 방법론을 사용하면서도 이성과 합리를 넘어선 인간의 감성, 직관, 영성의 중요성을 강조한 경건한 신학자였다고 노 박사는 평가했다.

 

노 박사는 21세기가 요구하는 목회자상, 신학자상, 그리고 인간상을 김정준 목사의 삶과 가르침 속에서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남중 목사가 전한 '임마누엘 신앙의 이정표', 김정준

 

김남중 목사(당시 뉴저지 드류신학대학원 예배·설교학 겸임 교수) 역시 2014년 기념사에서 김정준 목사를 '인생길의 참된 안내자'요 '이정표'로 칭하며 그의 삶을 기렸다. 김 목사는 인생의 여정에서 길을 잃고 방황할 때 좋은 스승을 만나는 것이 얼마나 큰 기쁨인지를 강조하며, 故 김정준 박사가 바로 그러한 스승이었다고 말했다. 그의 삶 자체가 그리스도와 하나님을 가리키는 분명한 이정표였다는 것이다.

 

김정준 박사의 이정표에는 '1914.11.6-1981.2.3'이라는 생애와 함께, 그가 평생 붙들었던 단 한 마디, '임마누엘'이 새겨져 있다고 김남중 목사는 전했다. 이는 김정준 박사가 폐결핵 말기로 투병하던 시절, 자신의 묘비에 "하나님께서 우리와 함께 계시다"는 뜻의 '임마누엘'만을 새겨달라고 했던 간절한 소망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한 단어가 그의 67년 삶 전체를 대변한다.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유신독재라는 한국사의 가장 힘겨운 시대를 관통하며, 개인적으로는 33세에 폐 하나를 절제하고 3개월 시한부 선고를 받는 등 극심한 육체적, 정신적 고통을 겪었음에도, 김정준 박사는 "하나님이 지금 이 자리에 나와 함께 계신다"는 '임마누엘' 신앙으로 모든 역경을 이겨냈다. 기적적으로 회복하여 '관에서 나온 사람', 풍랑 속에서 살아 돌아와 '용궁에서 나온 사나이'로 불렸던 그의 삶은 '경건한 임마누엘의 증인'으로서 한국 교회와 세계 신학을 비추었다.

 

김남중 목사는 김정준 박사가 시인, 문필가, 예언자, 목회자, 설교자, 학자, 교육행정가 등 다양한 모습으로 방대한 학문 활동과 함께 한국적 토착화 신학 수립에 기여했으며, '학문과 경건의 조화'를 실천한 삶이었다고 평가했다. 그의 삶의 궤적은 마치 늦가을의 풍성한 이삭, '만수(晩穗)'처럼 한 사람이 이루었다고 믿기 어려울 만큼 놀라운 업적들로 가득 차 있으며, 이는 진리 안에서 참되게 사는 인생이 얼마나 풍요로울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임마누엘 신앙의 이정표'로 남아 우리를 바른 길로 인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a66abd3166a75849cde1588c18c0f818_1747553539_8.jpg
▲44주기 추모 행사를 맞아 AI로 생성한 고 만수 김정준 목사 사진
 

만수 김정준 목사의 삶과 사역 연보

 

1914년 11월 6일 경남 동래군에서 출생한 김정준 목사는 평양 숭실중학교와 연희전문학교를 거쳐 일본 동경 청산학원 신학부를 1943년에 졸업했다. 같은 해 목사 안수를 받고 경주 구정교회 등에서 목회 활동을 시작했으며, 1947년에는 마산 가포리 국립요양소 교회를 창립하고 환우들을 돌보는 목회를 했다. 이후 학문적 깊이를 더하고자 캐나다로 유학하여 빅토리아 대학교 임마누엘 칼리지(B.D.)와 토론토 대학교(Th.M.)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연구를 거쳐 1961년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신학박사(Ph.D.) 학위를 취득했다.

 

귀국 후 김정준 목사는 한국신학대학(현 한신대학교) 교수로 봉직하며 제6대 학장(1961-1962)을 역임했고, 1963년부터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교수로 부임하여 교목실장과 대학교회 목사를 겸임하며 연합신학대학원 초대 원장(1964-1970)으로서 후학 양성에 헌신했다. 그는 한국구약학회 회장(1961-1966), 대한기독교서회 이사, <기독교사전> 편집위원장(1965-1971), 한국기독교연합회 찬송가 개편위원회 가사위원 등 교계 연합 활동에도 깊이 관여하며 한국교회 발전에 기여했다.

 

김 목사는 국내외적으로 신학교육 발전에 크게 공헌했다. 세계신학교육기금(T.E.F.) 아시아지구 위원(1967-1970), 동북아시아 신학대학협의회 실행위원(1967-1973) 및 회장(1971-1974)을 역임하며 국제 신학 교류의 장을 넓혔다. 또한 대한성서공회 구약 새번역위원회 위원장(1968-1969)으로 활동했으며, 1970년에는 한국신학대학 제8대 학장으로 다시 부임하여 1975년까지 학교를 이끌었다. 그의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71년에는 국민훈장 동백장을 수훈했다.

 

1970년대 후반에도 그의 활동은 계속되어 한국신학연구소 이사장(1973-1981), 대한기독교서회 편집위원장(1978-1980) 및 이사장(1980-1981)을 맡아 문서선교와 신학 연구 풍토 조성에 힘썼다. 연세대학교 이사(1979-1981)로도 봉사했으며, 1980년 크리스챤 라이프사 제정 선교대상을 수상했다. 한국신학대학 명예교수로 추대된 후 1981년 2월 3일, 67세의 일기로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다.

 

a66abd3166a75849cde1588c18c0f818_1747553558_85.jpg
▲44주기 추모 행사를 맞아 AI로 생성한 고 만수 김정준 목사 사진
 

시대를 밝힌 신앙의 등불, 만수의 가르침을 따라

 

만수 김정준 목사가 남긴 신앙과 학문의 유산은 오늘날 우리에게 깊은 울림을 준다. 그는 단순한 지식 전달자를 넘어, 삶으로 말씀을 살아내려 했던 참된 목회자이자 신학자였다. 그의 가르침은 혼란한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 그리스도인들에게 진정한 믿음의 길이 무엇인지 돌아보게 한다.

 

이번 추모 행사를 통해 우리는 김정준 목사가 평생 추구했던 경건한 신앙과 깊이 있는 학문의 세계를 다시금 마음에 새길 수 있었다. 세상을 향한 교회의 역할과 책임을 되새기며, 그의 복음적 열정이 다음 세대에도 이어져 한국교회와 세계교회 위에 아름다운 열매로 맺히기를 소망한다. 그의 삶처럼 우리도 각자의 자리에서 신앙의 본질을 붙들고, 세상을 향해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감당해야 할 것이다.

 

----------------------------------------------------------

구글 포토 앨범
아래 구글 앨범 링크를 누르시면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통해서 고화질 사진을 더 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시는 사진을 클릭하면 큰 사진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photos.app.goo.gl/VEuZV51sfUHgUPd49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뉴스 목록

Total 11,482건 1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고 만수 김정준 목사 44주기 추모 행사, 말씀과 학문으로 그의 삶을 기… 새글 2025-05-18
뉴욕교협, 사모·여성사역자 위한 '에클레시아' 영성수련회 개최 새글 2025-05-17
“다시 부흥을 꿈꾸며” 2025 CRC 한인목회자 총회, 영국 웨일즈에서… 새글 2025-05-17
지파운데이션, 마더스데이 맞아 싱글맘, 난민 60가정 선물지원 새글 2025-05-16
무종교인 증가도 멈칫, 미국 기독교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새글 2025-05-16
미국인들, 성경 긍정적 평가 늘었지만 실제 읽기는 제자리 새글 2025-05-16
뉴욕목사회, 멈춤 목회자를 위한 프로젝트 ‘사명자 단기선교사 파송’ 카운… 새글 2025-05-16
“건강한 목회는 한걸음부터” 뉴욕목사회 ‘목사 부부 걷기대회’ 개최 6/… 새글 2025-05-15
뉴저지 한소망교회 담임목사 청빙 “마지막 청빙이 되길 간절히 소망” 새글 2025-05-15
이풍삼 목사, 감동적 일화로 전한 "신학공부의 목적은?" 2025-05-14
리폼드신학교(RS) 제19회 졸업 감사예배 및 학위수여식 “하나님 최우선… 2025-05-14
윤세웅 박사 제7회 '신학과 과학' 세미나가 5/29에 열리는 이유 2025-05-13
제17회 미동부 5개주 목사회 체육대회, 뉴욕 종합우승 / 내년은 매릴랜… 2025-05-13
류인현 목사 “평강을 품은 공동체, 참된 샬롬의 길을 묻다” 2025-05-13
뉴욕 타임스퀘어, 6월 7일 복음의 물결로 뒤덮인다! 2025-05-10
사이버 치유상담 아카데미, 온라인 영성치유 수련회 개최 - 5/31 신청… 2025-05-10
미주뉴저지한인여성목, 이용걸 목사 초청 바른 목회 세미나 6/3 2025-05-09
UPS 후원의 밤, 성벽을 다시 세우는 기도의 불씨(5/24) 2025-05-09
노진준 목사와 정민영 선교사가 전한 참된 평강과 샬롬의 길 2025-05-09
이보교, 감동의 이민자를 위한 촛불기도회 'Kindling Hope' 2025-05-09
C&MA 한인총회 제42차 정기총회, 14가지 부흥 프로젝트 2025-05-07
박성일 목사, 열린말씀컨퍼런스서 전한 복음의 위로 2025-05-07
개신교 수도원 수도회, 창립 14주년 감사 예배 드려 2025-05-07
“죽음은 끝이 아닙니다” 류응렬 목사의 웰다잉과 천국 소망 2025-05-06
미래로 나아가는 NCKPC, 회칙 전면 개정으로 새 틀 마련 2025-05-06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