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노 사용에 대한 오해와 진실: 교회가 알아야 할 것들 > 뉴스

본문 바로가기


뉴스

포르노 사용에 대한 오해와 진실: 교회가 알아야 할 것들

페이지 정보

탑2ㆍ2025-02-11 23:26

본문

8e871004122d5a0bb0353cbab640ad62_1739334409_36.jpg
▲포르노는 남성만의 문제가 아니다(AI 생성사진)
 

교회는 종종 포르노에 대해 "남성만의 문제", "의지로 극복 가능"과 같은 비현실적인 인식을 갖는다. 바나(Barna)와 퓨어 디자이어 미니스트리의 연구는 이러한 통념을 짚어보고, 교회가 더 나은 대화를 이끌어가도록 돕는다.

 

"포르노는 남성만의 문제?"

여성 사용자 44%, 증가 추세와 다양한 이용 동기

 

바나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70%가 포르노는 남성만의 문제라는 인식이 강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여성 포르노 사용자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여 현재 44%에 달한다. 2015년 39%에서 상승한 수치다. 주목할 점은 남녀의 포르노 이용 동기가 다르다는 것이다. 남성은 지루함, 불안 해소, 오락 목적이 큰 반면, 여성은 배우자나 연인과의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포르노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포르노, 성 건강에 무해?"

웰빙 저하, 관계 악영향: 구체적 통계

 

미국 성인은 "포르노를 보면서도 건강한 성생활이 가능하다"는 믿음(67%)과 달리, 연구는 개인과 관계 모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포르노 사용자는 비사용자에 비해 삶의 목적 의식(64% vs. 75%), 목표 달성 능력(59% vs. 64%), 일상생활 준비도(60% vs. 68%)가 낮다. 반면 자기 비판(47% vs. 34%), 완벽주의(31% vs. 18%), 실패 두려움(37% vs. 25%)은 높다. 배우자에게 매력을 느끼지 못하고(여성 44% vs 남성 11%), 비현실적 기대를 하며(여성 38% vs 남성 17%), 자존감 저하(여성 38% vs 남성 12%)를 겪는 등 관계에도 악영향을 준다.

 

"의지만으로 극복 가능?"

66%의 오해, 책임 파트너십의 중요성

 

미국 성인의 66%는 "의지만으로 포르노 중독을 극복할 수 있다"고 믿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포르노 사용 경험자 대다수는 자신의 문제를 숨기고 도움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연구 결과, 책임감 있는 파트너가 있는 경우 포르노 사용 빈도가 줄고, 전반적인 웰빙이 향상되며, 포르노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현실적인 인식을 갖게 되는 등 긍정적 변화를 보인다.

 

교회의 역할: 

데이터 기반의 열린 대화와 실질적 지원 시스템

 

교회는 포르노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고, 남녀 모두에게 안전한 지원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영적 지도와 실질적 지원을 결합한 책임 프로그램, 사역자 훈련이 필수적이다. 데이터 기반의 통찰력을 바탕으로, 수치심을 유발하지 않는 열린 대화를 통해 성도들의 건강한 관계와 영적 성장을 지원하는 것이 교회의 역할이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뉴스 목록

Total 11,319건 1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2025 미셔널 처치 컨퍼런스 “문화의 변혁자” 주제로 NJ에서 열려 4… 새글 2025-03-27
크리스천, 술 마셔도 될까? 에드 영 목사의 솔직한 이야기 새글 2025-03-27
[부고] 손한권 목사와 이재덕 목사의 부인 별세 새글 2025-03-27
이승만 건국대통령 탄신 150주년 기념예식 “공산주의는 안 된다!” 새글 2025-03-27
이명석 당선자 “차세대 역사교육과 반공정신 확산에 최선” 새글 2025-03-27
신선묵 교수 “한인교회, 소그룹으로 건강하게 성장한다” 새글 2025-03-26
김금옥, 조상숙, 정숙자 목사가 새로운 여성목회자협회 창립한 이유 새글 2025-03-26
뉴저지교협 2025년 부활절 연합새벽예배 5개 지역에서 새글 2025-03-26
뉴욕 한인교회 청소년 대상 설문조사 발표 현장에서는 어떤 일이… 새글 2025-03-26
뉴욕 한인 청소년 신앙탐구생활 2025 보고서 발표, 그 내용은? 새글 2025-03-26
최윤정 교수 “가정에서 피어나는 다음세대 신앙의 꽃” 새글 2025-03-26
2025 부활절 새벽연합예배, 우리 교회가 모이는 곳은? 새글 2025-03-25
뉴욕교협, 작은 교회 지원 및 청소년 장학금 후원 골프대회 4/23 새글 2025-03-25
2025 열린 말씀 컨퍼런스 “복음의 평강” 주제로 필라에서 5/2 개최 새글 2025-03-25
50여년 이단과 맞선 한선희 목사가 최근 화가 난 2가지 이유 새글 2025-03-25
뉴욕주는교회 우영주 2대 담임목사 취임 “받은 사랑을 돌려주고 싶다” 새글 2025-03-25
더라이프장로교회 설립 1주년 기념 예배, 감동과 은혜로 가득 새글 2025-03-24
남종성 교수 "이민 목회자의 영성은 어떻게 회복될 수 있을까?" 2025-03-24
홍민기 목사 “현재 34개 교회개척, 은퇴까지 100개 목표” 2025-03-24
뉴욕주는교회 김연수 목사 은퇴 “기가막힌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2025-03-23
임성진 총장 “네 가지 설교 스타일, 영혼을 울리는 메시지” 2025-03-23
목회자 은퇴, 언제 해야 할까? 10가지 진단 질문과 답 2025-03-22
교회성장의 다섯 단계, 우리 교회는 어디쯤일까? 2025-03-22
팬데믹 이후, 우리 교회 재정은 안녕하십니까? 2025-03-22
나눔으로 피어나는 희망, 2025 나눔On 지원금 전달식 현장 2025-03-21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