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이후, 우리 교회 재정은 안녕하십니까? > 뉴스

본문 바로가기


뉴스

팬데믹 이후, 우리 교회 재정은 안녕하십니까?

페이지 정보

탑2ㆍ2025-03-22 07:05

본문

b5f08328733db0134e873705b3734d6b_1742602139_81.jpg
▲1인당 헌금 액수는 종교, 연령, 교회 규모에 따라 달랐다. (AI 생성사진)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거대한 파도가 휩쓸고 간 지 어언 5년. 모든 것이 변해버린 세상, 우리 교회 재정은 과연 안녕할까? 하트포드 종교연구소의 보고서를 바탕으로 미국교회의 솔직하고 담백하게 교회 재정 이야기를 살펴 서로 비교하며, 새로운 재정 전략을 모색하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롤러코스터 타는 미국교회 수입과 지출

2023년, 평균 60명 출석 교회 수입은 16만 5천 달러, 지출은 16만 달러. 겉보기엔 괜찮아 보이지만, '인플레이션'이라는 함정이 있었다. 작은 교회는 여전히 힘들다. 50명 이하 교회 수입은 고작 6만 6천 달러. 교회 수입은 헌금이 대부분(85%)이고, 나머지는 모금 행사, 공간 임대, 투자 등으로 채운다. 지출은 인건비(43%)와 건물 운영비(26%)가 가장 크다. 수입과 지출이 딱 맞는 교회는 14%뿐. 62%는 흑자지만, 24%는 적자다. 예산 운용도 빡빡하다.

온라인 헌금, 선택이 아닌 필수?

온라인 헌금은 이제 대세다. QR코드, 문자, 자동 이체... 방식도 다양하다. 2015년엔 31% 교회만 사용했지만, 2023년엔 3분의 2 이상이 도입했다. '온라인 헌금 적극 활용' 교회도 25%(2020년)에서 50%(2023년)로 늘었다. 대형교회는 대부분 온라인 헌금을 쓰지만, 소형교회는 4분의 1만 강조한다. 하지만 온라인 헌금, 아직 갈 길이 멀다. 교인 20%만 사용하고, 전체 헌금의 30% 정도다. 그래도 꾸준히 성장 중이다. 2020년엔 교인 15%, 헌금 10%였지만, 2023년엔 각각 20%, 30%로 늘었다.

헌금, 줄었는데 개인별로는 늘었다?

2020년 1인당 평균 헌금은 2,000달러, 2023년엔 2,222달러. 늘었지만, 물가 상승률을 감안하면 사실상 줄었다. 헌금 액수는 종교, 연령, 교회 규모에 따라 다르다. 메인라인 개신교(2,700달러)가 가장 많고, 복음주의 개신교(2,000달러), 가톨릭/정교회(1,500달러) 순이다. 65세 이상 신자가 많을수록, 작은 교회일수록 1인당 헌금이 많다. 온라인 헌금을 적극 활용하는 교회 헌금액이 그렇지 않은 교회보다 많다. 현장+온라인 예배 병행 교회 헌금이 현장 예배만 하는 교회보다 많다.

교회재정, 건강할까? 자가진단

교회 지도자들에게 재정 상태를 물었다. 놀랍게도 25%가 "매우 좋다"고 답했다. "좋다"까지 합치면 60% 이상. "빠듯하지만 감당할 만하다" 28%, "어렵다" 또는 "심각하게 어렵다"는 10% 남짓. 팬데믹 초기에 비해 어려움 겪는 교회가 줄었다. 힘든 교회들이 문 닫았을 가능성도 있다. 5년 전과 비교하면, 재정 악화 25%, 호전 20%, 비슷 55%. 의외의 결과다. 교인 헌금 증가, 정부 지원, 자체 노력 등이 이유일 수 있다. 주류 개신교, 온라인 예배만 드리는 교회가 재정 악화가 심했다. 재정 악화 교회 중 20%는 여전히 "좋은" 상태, 50%는 "감당할 만" 수준.

팬데믹, 위기이자 변화의 기회

팬데믹은 교회 재정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쳤다. 2021년, 30% 교회가 재정난, 헌금 감소를 겪었지만, 41%는 헌금이 늘었다. 재정 지원 요청도 늘었다. 교회는 지역 사회 지원 확대, 온라인 헌금 시스템 도입 가속화로 대응했다. 하지만 온라인 헌금 이용률은 아직 낮다. 온라인 예배 참여는 늘었지만, 헌금은 대면 예배보다 적다. 교회 지도자들은 재정 상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높은 인플레이션을 고려하면 실제 성장은 아니다. 많은 교회가 수입-지출 균형에 어려움을 겪는다. 교회는 헌금 문화 조성, 다양한 헌금 방식, 온라인 헌금 활성화, 재정 교육, 수익원 다변화 등 새로운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각 부분별로 자세한 내용을 읽기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로제

뉴스 목록

Total 2,142건 1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주성민 목사의 '적극적 신앙' 간증, 4/14 크루즈 울리다 새글 2025-10-29
이보교 2025 심포지엄, "열 사람의 한 걸음"으로 ACLU와 손잡다 댓글(1) 새글 2025-10-29
"한국 교회, 침몰하는 타이타닉" 조용성 노 선교사의 강력한 경고 새글 2025-10-29
"가난은 아이들을 막지만, 복음과 사랑은 길을 엽니다" 4/14 포럼 현… 새글 2025-10-29
4/14 윈도우 크루즈 "교회의 연속성, 모세·사울의 실수 반복 말아야" 새글 2025-10-29
​4/14 포럼: "아이들 구출은 외주 불가능한 교회의 핵심 사명" 새글 2025-10-28
7살 주일학교 소년, 2100개 교회 이끄는 총회장 되다 새글 2025-10-28
131개국 30만 리더 동참, '4/14 윈도우 운동' 16년의 열매와 … 새글 2025-10-28
김남수 목사, "아이들은 1천억 불보다 귀한 보물" 새글 2025-10-28
주성민 목사 "영혼 구원의 절박함, 부르짖는 기도로 능력을 체험하라" 새글 2025-10-28
뮤지컬 프라미스 예수역 배우들의 감동 간증 새글 2025-10-28
웨스 스태퍼드 박사, "어른은 '절반', 아이들이 '온전한' 개종자" 새글 2025-10-27
4/14 운동 크루즈, 둘째 날 밝힌 '겸손과 동행'의 메시지 새글 2025-10-27
루이스 부시 박사, '5R' 비전 선포 "다음 세대, 동등한 사역 파트너… 새글 2025-10-27
김남수 목사, '4/14 윈도우' 16주년 크루즈 출항... "다음 세대… 새글 2025-10-27
웨스 스태퍼드, "프라미스교회 없었다면 4/14 운동도 없었을 것" 새글 2025-10-27
1,200명 탑승한 '희년의 배'…허연행 목사, "하나님의 놀라운 계획" 새글 2025-10-27
회비 논쟁에 막힌 뉴욕교협 임시총회, '회장 연임' 이슈 급부상 댓글(2) 2025-10-25
피종진 목사, 뉴욕 집회서 "하나님의 5대 언약과 축복" 선포 2025-10-24
앰배서더스 컨퍼런스, 2세 넘어 1세 목회자·평신도 리더 초청 (11/1… 2025-10-23
그루터기선교회 해외선교 40주년 감사예배 및 선교보고 "일하신 하나님께 … 2025-10-23
홍종임 선교사 "선교사 아닌 하나님께 집중해달라" 2025-10-23
89세 김태열 사모 "선교, 프로그램 아닌 '성령 체험'이 결론" 2025-10-23
구자범 목사 "뉴욕은 에베소, 이미 '신령한 복' 받았다" 2025-10-23
뉴욕한국요양원, 한인 시니어 위한 전문의 초빙 "한 영혼 천하보다 귀하게… 2025-10-22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