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스턴 목사 "AI는 내 아버지 시대의 피아노와 같다” > 뉴스

본문 바로가기


페이스 상패 해피바잉 이희상 로제 제이미


뉴스

휴스턴 목사 "AI는 내 아버지 시대의 피아노와 같다”

페이지 정보

탑2ㆍ2025-03-16 07:31

본문

49b2cf6ce5c4deff29557ee5bc074534_1742124587_35.jpg
▲한 휴스턴 목사는 "AI는 내 아버지 시대의 피아노와 같다. 처음에는 교회에서 세속적인 악기로 여겨졌지만, 지금은 필수가 됐다"고 했다.(AI 생성사진)
 

휴스턴의 라이트하우스 교회를 이끄는 키온 헨더슨 목사(43)는 인공지능을 교회 사역에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그는 최근 행사를 위한 메시지 제목을 구상하면서 ChatGPT에 도움을 요청했고, AI가 제안한 "부활로 가는 길"이라는 제목에서 영감을 얻었다.

 

헨더슨 목사는 "AI가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데 도움을 줬지만, 창의성은 여전히 내 것이다. AI가 제안한 내용은 반드시 성경과 대조해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미 회원 등록, 데이터 입력, 설교 작성 등 다양한 영역에서 AI 도구를 활용하고 있다고 현지 Chron이 보도했다.

 

종교와 기술의 진화하는 관계

 

종교와 기술의 결합은 15세기 인쇄기 발명 이후 라디오, 텔레비전, 인터넷으로 이어져 왔다. 휴스턴의 레이크우드 교회 조엘 오스틴 목사도 일찍이 기술에 투자해 TV 제작, 소셜 미디어, 팟캐스트 등을 활용했다.

 

2022년 11월 ChatGPT가 출시된 후, 텍사스의 종교 지도자들도 이를 적극 수용하기 시작했다. 헨더슨 목사는 "AI는 내 아버지 시대의 피아노와 같다. 처음에는 교회에서 세속적인 악기로 여겨졌지만, 지금은 필수가 됐다. LED 스크린이나 드럼도 마찬가지다. AI도 결국 우리 신앙 생활의 일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이 도구를 사용할 것이지만, 이것이 하나님을 대체하지는 않을 것이다. 우리는 여전히 기도하고, 신앙의 핵심 가치를 지켜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AI 활용의 장단점과 윤리적 고려사항

 

휴스턴의 종교 지도자들은 AI의 잠재적 위험성도 인식하고 있다. 한 랍비는 AI가 사실처럼 보이는 정보를 만들어내는 '환각' 현상을 우려했으며, 다른 목사는 "설교는 텍스트가 15~20%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회중과의 연결과 몸의 표현"이라며 AI가 설교자를 완전히 대체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헨더슨 목사도 딥페이크(AI로 생성된 가짜 영상)의 위험성을 인정하면서도 "두려움 때문에 AI의 긍정적 가능성을 놓치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달라스의 한 주교가 유튜브에 올라온 AI 생성 가짜 영상과 싸우고 있는 사례를 언급하며, "모든 것은 악용될 가능성이 있지만, 그 두려움이 우리가 좋은 목적으로 AI를 사용하는 것을 막아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성도들의 긍정적 반응과 미래 전망

 

라이트하우스 교회 성도들은 목사의 AI 활용에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교회 멤버십 서비스 부서의 한 성도(28)는 "ChatGPT가 이메일 작성에 도움이 되지만, 내용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생명공학 회사에서 일하는 다른 성도(38)는 "AI 도구가 난독증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됐다"며 "목사가 AI를 사용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만, 여전히 성경을 열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른 성도들은 "목사가 ChatGPT를 사용하는 것은 괜찮다. 왜냐하면 그는 성경도 함께 사용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헨더슨 목사는 "우리는 기술이 대체할 수 없는 일을 인간의 손으로 계속하고 있지만, AI를 활용해 행사를 알리고 참석자를 모집했다. 우리는 AI를 그것이 잘하는 일에 활용하지만, 인간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마음을 대체하게 하지는 않는다"고 결론지었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로제

뉴스 목록

Total 11,740건 32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오정호 선교사 (1) 고령화 비디오대여점과 고령화 한인교회 2024-11-09
허연행 51회기 교협회장 “2025 할렐루야대회 이렇게 달라진다” 2024-11-08
합창마을 2024 연주회, 메시아에서 크리스마스 캐럴까지 2024-11-08
허연행 51회기 교협회장의 포용과 화합 리더십, 50회기 징계자 문제 해… 댓글(3) 2024-11-08
[K목회5] 벨뷰사랑의교회 하성진 목사 “목회본질은 예수님을 평생 따르게… 2024-11-08
더나눔하우스 가을야유회, 12/8 주일에는 후원 감사의 밤 2024-11-08
북미원주민선교회 후원을 위한 제1회 미동부지역 족구대회 2024-11-08
지형은 목사의 꿈 “말씀삶운동을 통해 한국교회를 갱신하자!” 2024-11-07
주성철 목사 “성소수자로부터 산하교회 보호위해 교단헌법 수정 필요” 2024-11-06
믿음장로교회와 굿네이버스가 공동주최한 가스펠 콘서트 2024-11-06
고 한재홍 목사 장례예배 “복음의 투사와 피스메이커로 살아온 인생” 2024-11-06
KAPC 목장 기도회 / 김동수 목사 “현대교회의 권징, 왜 어려운가?” 2024-11-05
GMC(글로벌감리교회) 한미연회 동북부지방 주최 감사 찬양제 2024-11-05
2024 KAPC 목사 장로 기도회 "교회여, 말씀과 기도로 거룩하라!… 2024-11-05
KAPC 목사 장로 기도회 “미국 대선에서 하나님을 경외하는 지도자가 선… 2024-11-05
2024 웨체스터교협 연합부흥회, 하형록 목사 “뻣어나가는 플랫폼이 되라… 2024-11-04
한재홍 목사, 81세를 일기로 하나님의 부르심 받아 댓글(1) 2024-11-03
미동부국제기아대책기구 10월 월례회 “이제 안심하라” 2024-11-02
53회기 뉴욕목사회 후보들 출사표 / 회장 한준희 목사, 부회장 박희근 … 댓글(1) 2024-11-02
뉴욕교협 재정 수난시대 “회장은 임기후에도 재정에 대한 책임져야” 댓글(1) 2024-11-01
[K목회4] 퀸즈한인교회 김바나바 목사 “퀸즈한인교회 트레이드마크는 특새… 2024-11-01
이보교, 선거 앞두고 ”비 맞는 이민자들 곁에서 함께 비를 맞겠습니다” … 2024-10-31
안나산 기도원, 제3회 추수 감사 찬양 콘서트와 감사만찬 2024-10-31
투표권과 발언권을 잃은 첫 정기총회에 선 뉴욕교협 증경회장들 2024-10-31
“2024 한인교회 발달장애 컨퍼런스” 성황리에 마쳐 2024-10-31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