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한인 청소년 ④ 일상생활 들여다보기 > 뉴스

본문 바로가기


페이스 상패 이희상 로제 제이미


뉴스

뉴욕 한인 청소년 ④ 일상생활 들여다보기

페이지 정보

탑2ㆍ2025-04-05 15:19

본문

목회데이터연구소가 뉴욕교협 청소년센터(AYC)와 함께 뉴욕 지역 한인 Z세대 청소년 165명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지난해 9월부터 약 넉 달간 이루어진 이 조사는 우리 자녀 세대의 신앙과 고민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오늘은 그 네 번째 순서로, 청소년들의 '일상생활' 풍경을 함께 살펴보았다.

 

[관련 기사] 

- 뉴욕 한인 청소년 ① 개인 신앙생활 들여다보기

- 뉴욕 한인 청소년 ② 교회생활 들여다보기
- 뉴욕 한인 청소년 ③ 가정 신앙생활 들여다보기

 

5fec50fbc4006894670cbd2e2c36fcdf_1743880715_29.jpg
 

먼저 요즘 일상생활에 얼마나 만족하는지 물었다. 5점 만점에 평균 3.5점으로, 딱 '보통' 수준의 만족도를 보였다. 절반이 넘는 51.5%가 '만족한다'(약간+매우 만족)고 답했지만, '불만족한다'는 응답도 12.1%였고, '보통이다'가 36.4%를 차지했다. 신앙적 확신이 있는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보다 만족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고, 롱아일랜드 지역 청소년들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그렇다면 무엇이 그들을 만족하게 할까? 만족하는 청소년들은 '친구 관계'(54.1%)에서 가장 큰 기쁨을 얻었다. 그다음은 '가족 관계'(42.4%), '교회 생활'(40.0%) 순이었다. 교회 생활이 3위에 오른 점은 주목할 만하다. 뉴욕이라는 환경 속에서 한인 교회 공동체가 청소년들의 삶에 적지 않은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했다.

 

반대로 일상에 불만족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불만족을 느낀다고 답한 청소년들은 '학교생활'(45.0%)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다. 이어서 '친구 관계'(35.0%), '개인 신앙생활'(30.0%), '교회 생활'(25.0%) 순으로 불만족을 표했다. 다만 이 응답은 표본 수가 30명 미만이므로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조심스러운 부분이 있다.

 

일상 속 감정 상태는 어떨까? '거의 매일 피곤하거나 에너지가 생기지 않는다'는 문항에 32.7%, 즉 3명 중 1명이 '그렇다'고 답했다. 많은 청소년이 만성적인 피로감을 느끼고 있는 현실을 보여주었다. 학업과 다양한 활동 속에서 지쳐가는 모습이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하지만 피곤함 속에서도 배움에 대한 관심은 놓지 않았다. '학업에 대한 흥미가 줄었다'는 질문에는 69.7%가 '그렇지 않다'(별로+전혀)고 답해, 대부분 학업에 대한 흥미를 유지하고 있었다. 또한, '거의 하루 종일 슬프거나 짜증 난다'는 부정적 감정 상태에 대해서도 77.6%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5fec50fbc4006894670cbd2e2c36fcdf_1743880735_83.jpg
 

미래에 대한 희망은 밝은 편이었다. '앞으로 내 생활이 더 나아질 것이라는 희망이 없다'는 문항에 83.6%가 동의하지 않아, 대다수 청소년이 미래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학교나 지역사회에서 언어적·문화적으로 어려움을 겪는다'는 응답도 10% 미만(90.3% 부정)으로, 대부분 잘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우 민감할 수 있는 '자살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해 본 적이 있다'는 질문에는 압도적인 95.8%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뉴욕 지역 한인 청소년 대부분은 극단적인 생각과는 거리가 먼 건강한 정신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 다행스러운 결과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청소년들과 비교했을 때 더욱 두드러진다. 한국 청소년 대상 조사에서는 '매일 피곤하다'(45.1%), '학업 흥미 저하'(46.0%), '슬픔/짜증'(30.2%), '미래 희망 없음'(24.1%), '자살 생각 경험'(27.0%) 등 부정적 응답 비율이 뉴욕 한인 청소년들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뉴욕 한인 청소년들의 정서적·정신적 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고민이 생겼을 때, 청소년들은 누구와 이야기를 나눌까? '학교 친구'(55.2%)가 압도적인 1위였다. '부모님'(49.7%)이 바로 뒤를 이었고, '교회 친구'(29.1%), '형제/자매'(26.7%), '목회자'(10.3%) 순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은 부모님이나 형제자매 등 가족에게, 고등학생은 친구나 목회자에게 고민을 더 털어놓는 경향이 보였다.

 

5fec50fbc4006894670cbd2e2c36fcdf_1743880746_45.jpg
 

조심스러운 질문인 '경험해 본 것'에 대해서는 '포르노 시청'(22.4%) 경험이 가장 많았고, '음주'(17.6%), '도박'(9.7%), '흡연'(3.6%) 등이 뒤따랐다. 스스로 '중독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는 '소셜 미디어'(52.7%), '인터넷'(48.5%), '게임'(41.2%)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중독된 것이 없다'는 응답은 17.6%였다.

 

마지막으로 '한국계 미국인으로서 힘든 점'을 물었을 때, 44.2%는 '특별히 없다'고 답했다. 어려움을 느낀다고 답한 경우, 그 이유는 '인종차별'(15.2%), '언어 문제'(12.1%), '애매한 소속감'(11.5%), '문화 차이'(9.7%), '외로움'(4.8%)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특히 고등학생이나 미국 외 출생 청소년들이 어려움을 더 많이 느끼는 경향이 있어, 이들의 정체성 확립과 문화 적응을 위한 교회와 공동체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해 보였다.

 

(AI 생성사진)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로제

뉴스 목록

Total 11,705건 24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문석호 목사 ① 사도행전 주해 저서 출판기념 감사예배 및 세미나 2025-01-29
문석호 목사 세미나 “사도바울이 뉴욕 플러싱에서 교회개척을 한다면” 댓글(1) 2025-01-28
동부개혁장로회신학교 2025 봄학기 개강부흥회 “회복과 재헌신” 2025-01-28
베이사이드장로교회 주일저녁 중보기도회 “온 교회와 열방을 회복시키소서” 2025-01-28
글로벌뉴욕여목회 제9회기 힘찬 출발 "말씀과 기도로 거룩한 공동체" 2025-01-27
글로벌뉴욕여성목 제9회기, 전희수 목사 이임 및 권케더린 목사 회장취임 2025-01-27
이길주 교수 “내일을 기다리는 사람들의 365 말씀 묵상”을 읽고 2025-01-27
세기총, 제52차 한반도 자유·평화통일 멕시코시티기도회 개최 2025-01-27
C&MA 한인총회의 기적 ② 바이블킹덤 100% 사용법 2025-01-25
양민석 목사가 고든 맥도날드의 책을 무료로 배포한 이유 댓글(1) 2025-01-25
세기총 2025년 신년하례 및 제51차 한반도 자유·평화통일 과테말라시티… 2025-01-24
허연행 뉴욕교협 회장 “슬기로운 새해생활을 위한 3가지 지혜” 2025-01-24
한준희 뉴욕목사회 회장이 전하는 교계 단체장이 가져야 할 자세 2025-01-24
새 이름과 새 장소로 힘차게 출발하는 블루존교회(이종태 목사) 2025-01-23
미주통일선교집회 “노크 귀순에서 목회자로: 임바울 목사의 기적 같은 여정… 2025-01-23
효신교회, 사랑과 섬김의 신년특새 및 웨딩카로 축복한 특별한 은퇴예배 2025-01-21
다윗처럼 찬양하고 기도! 신년 말씀찬양 집회에 모인 청소년들 이야기 2025-01-21
간호사는 1위, 성직자는 10위…미국 직업 신뢰도 순위의 비밀 댓글(3) 2025-01-21
이용걸 목사가 유태인 키파를 쓰고 한 신년메시지 내용은? 2025-01-21
가든노회 2025년 신년하례 “주님께서 약속한 풍성하고 놀라운 삶” 2025-01-21
말씀과 성경이 함께한 트럼프 제47대 미국 대통령 취임식 2025-01-20
연합이 아름다운 2025 뉴저지 교협과 목사회 연합신년하례 2025-01-20
뉴저지 박상돈 교협 회장과 이정환 목사회 회장의 2025 신년사 2025-01-20
하나님을 미소짓게 만든 박상천 목사 "몸 아닌 얼굴로 사역하라!" 2025-01-20
C&MA 한인총회의 기적 ① 이중언어 주일학교 도우미 바이블킹덤 공개 2025-01-19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