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오모 뉴욕주지사 “4단계까지 교회예배 할 수 없다” > 뉴스

본문 바로가기


뉴스

쿠오모 뉴욕주지사 “4단계까지 교회예배 할 수 없다”

페이지 정보

교계ㆍ2020-05-18 21:50

본문

쿠오모 뉴욕주지사는 5월 18일 월요일 언론 브리핑을 통해 뉴욕주 재개방 계획의 마지막인 4단계까지 예배당을 다시 열 수 없다고 말했다. 그렇게 되면 이미 5월 15일에 오픈된 뉴욕주의 5개 지역은 지금과 같이 안정된 상황이 계속되고, 각 단계 진행에 2주가 걸리는 것을 고려하면 약 6주 후에 예배당을 열고 현장예배를 드릴 수 있다. 뉴욕시 같은 경우 아직 오픈도 되지 않아 시간이 더 걸리게 된다. 

 

02fe72af8b9717aa6bdc5de6697c2d19_1589852941_1.jpg
 

버펄로뉴스에 따르면, 쿠오모 뉴욕주지사는 18일 월요일 브리핑에서 예배와 관련하여 언급하며 예배당 현장예배 재개는 장소나 내용의 문제가 아니라 “밀도 집중”의 문제라고 언급했다. 뉴욕 최초의 핫스팟인 웨스트체스터 카운티의 뉴 로첼 확산도 종교집회를 통해 한 사람이 수십 명을 감염시켰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뉴욕주 전염병 예방 행정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관계자는 "집단이 모이기 때문에 예배당이 다시 열리는 것은 마지막 4단계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또 "많은 질문이 있는 훨씬 적은 규모의 종교 모임의 허락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고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쿠오모 주지사는 집행은 지역 정부에 맡길 것이라고 했다. 지역 지도자들은 지난 주말 교회에서 종교적인 예배를 드림으로 법을 어기려고 한 목사의 사례를 지적했다. 버펄로 시장은 “우리는 법을 위반하면 체포 될 것이라고 그 목사에게 말했다”라며 "그런 경고후 예배는 열리지 않았지만, 우리는 법을 집행 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

 

한편 다른 신문도 관련 기사를 통해 복음주의 교회 지도자들이 코로나19로 인해 뉴욕에 긴급 상황이 있다는 것을 이해하지만, 뉴욕주가 종교 지도자와 협력하여 균형있게 교회 현장예배 재개하는 것이 실패했다는 의견도 실었다. 그리고 쿠오모 주지사에게 “왜 식료품점이나 정원용품점은 다시 열 수 있으며, 건물에 수십 명의 사람들이 있는 것은 허용하면서 왜 교회는 그렇게 할 수 없는가? 거리 지키기를 한 채 진행되는 주지사의 일일 언론 브리핑조차도 작은 시골 교회가 전형적인 주일 모습”이라고 항의하는 서한을 보냈다고 보도했다. 

 

그리고 쿠오모 주지사가 17일 주일 브리핑에서 5월 28일 유대인 휴일과 25일 메모리얼데이에 소규모 종교모임이 가능한가 라는 기자의 질문을 받고, 쿠오모 주지사는 “가능하리라고 생각한다”라며 “곧 결정을 발표 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로제

뉴스 목록

Total 11,856건 11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세기총 6.25 75주년 메시지 "남북은 적대국 아닌 한 형제, 사랑으로… 2025-06-24
고 해봉 김종환 목사의 1주기 추모식 및 출판기념예배 2025-06-24
뉴욕교협, 크리스천 청년들의 ‘3M’ 찾아주기 프로젝트 시작 댓글(1) 2025-06-23
뉴욕 한인단체장들 긴급 회동 "한인사회, 총체적 위기 직면" 공동 대응 … 2025-06-22
뉴저지 선교사의집, 바자회 성료… 새로운 보금자리 찾아 2025-06-22
뉴저지 동산교회, 설립 40주년 '감사와 비전'의 음악 축제 7/6 2025-06-21
첫 정식 GMC 한미연회, 은혜와 결단 속에 막을 내리다 2025-06-20
교역자연합회와 칼빈부흥사회 연합 저녁집회 “사도행전은 기도행전” 2025-06-20
미주 남침례회 한인교회 총회, 역대 최고 등록속 선교 예산 40만 불 증… 2025-06-20
뉴욕 제2차 칼빈부흥사회 연합집회, 영적 갱신과 연합의 시간 2025-06-20
이화진 목사, <Korean Moms 사랑이야기> 출판감사예배 2025-06-20
미주한인교회 시니어 ⑥ 고령화 시대, 한인교회의 새로운 길을 묻다 2025-06-20
이민자 시위현장, 성경이 정치적 ‘깃발’이 될 때 그리고 교회가 붙잡아야… 2025-06-20
가톨릭의 Z세대 부흥이 개신교회에 던지는 메시지 2025-06-19
'다음 목회자가 없다' 미국과 한인 교회의 시한폭탄 2025-06-19
미주한인교회 시니어 ⑤ 목회: 성도 10명 중 6명은 시니어 2025-06-19
장충렬 목사, "하나님 나라의 꿈에 미쳐야 교회가 부흥한다" 2025-06-19
미국 성서공회 “신앙 깊을수록 풍요로운 삶 누린다” 2025-06-18
뉴저지에 던져진 부흥의 불씨, 장충렬 목사가 제시한 부흥의 5대 전략 2025-06-18
목회자 가정은 행복할까? 라이프웨이가 밝힌 의외의 결과 2025-06-18
김종훈 목사가 10년만에 다시 해외한인장로회 총회장으로 섬기는 이유 2025-06-18
장충렬 목사 “꿈이 없는 목회는 위험하다”, 다시 일어나는 교회를 위한 … 2025-06-17
찰스턴 교회의 총기 난사 10주년, 증오를 이긴 용서의 기적 2025-06-17
미주한인교회 시니어 ④ 일상생활: ‘건강과 신앙’이 삶의 두 기둥 2025-06-17
"한 영혼의 변화에 모든 것 걸었죠" 뉴욕성지교회 박희영 목사 2025-06-17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