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성공회, 백인 아프리카너 정착 문제로 정부와 40년 협력 종료
페이지 정보
2025-05-13관련링크
본문
[기사요약] 미국 성공회가 트럼프 행정부의 백인 아프리카너 난민 수용 요청에 도덕적으로 반대하며, 연방정부와의 40년 난민 재정착 파트너십을 종료했다. 이는 인종 정의와 화해를 향한 신앙적 입장을 분명히 한 결정이다.
▲미국 성공회가 연방정부와 40년 가까이 이어온 난민 재정착 파트너십을 전격 종료했다.(AI 생성사진)
미국 성공회가 연방정부와 40년 가까이 이어온 난민 재정착 파트너십을 전격 종료했다. 결정의 배경에는 트럼프 행정부가 백인 아프리카너를 난민으로 수용할 것을 요청한 데 따른 교단의 도덕적 반대가 있다. 성공회 수장 션 로우 감독은 최근 서한에서 “인종 정의와 화해에 대한 신앙적 헌신, 그리고 남아프리카 성공회와의 역사적 연대를 고려해 이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월, “부당한 인종 차별의 희생자”로 백인 아프리카너의 난민 지위를 인정한 행정명령을 발표한 이후 나온 것이다. 그러나 남아공 정부와 현지 백인 기독교 지도자들조차 이 주장에 강하게 반박하며, 체계적 박해는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성공회의 입장은 단순한 정책 판단을 넘어서, 교회가 걸어온 정의의 여정과 깊이 연결된 신학적 선언으로 읽힌다.
성공회는 1960년대부터 반아파르트헤이트 운동에 동참하며 남아공에서 정의를 위한 목소리를 높여왔다. 이번 결정 또한 그 맥락의 연장선상에 있다. 로우 감독은 “연방 재정으로 운영되는 재정착 사역은 9월까지 단계적으로 종료되겠지만, 교단은 다른 방식으로 난민과 이주민을 계속 도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악관은 성공회의 결정을 “인도주의 정신에 위배된다”고 비판하며, “아프리카너도 박해받은 자들로, 다른 난민들과 다를 바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정작 트럼프 행정부는 전체 난민 프로그램을 사실상 중단하고 있으며, 법원 명령조차 이행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반면 백인 아프리카너 입국만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형평성 논란이 커지고 있다.
세계복음주의 구호 단체인 월드릴리프(World Relief)와 같은 보수적 복음주의 단체들조차 이 상황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그들은 “모든 박해받는 이들을 위한 공정한 재정착 재개”를 촉구하며, 신앙의 이름으로 선택적 수용이 아닌 정의롭고 보편적인 환대를 강조했다. 이번 사태는 미국 교회가 어떤 신앙의 기준으로 세상과 맞서야 하는지를 묻는 또 하나의 시험대가 되고 있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