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의 이름으로 자행되는 러시아의 광범위한 종교 자유 침해
페이지 정보
2025-07-01관련링크
본문
[기사요약] 2025년 미 국제종교자유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러시아가 ‘극단주의’와 ‘불법 선교’ 등 모호한 법을 이용해 여호와의 증인, 개신교, 무슬림 등 소수 종교를 박해하고 있다. 수백 명이 투옥되고 가혹 행위에 시달리는 실태를 고발한다.
▲러시아, 모호한 법으로 소수 종교 박해 (AI 생성사진)
러시아 정부가 ‘비전통적’이라는 틀을 씌워 광범위한 종교 단체와 신앙인들을 박해하고 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미 국제종교자유위원회(USCIRF)는 2025년 7월 발표한 국가 보고서에서 러시아가 2024년부터 2025년 상반기까지 자국과 점령지인 우크라이나 영토에서 여러 종교 단체 구성원들을 종교 활동을 이유로 기소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러시아 정부가 ‘극단주의’, ‘바람직하지 않은 단체’, ‘테러리스트’ 등 불분명한 개념의 법을 이용해 평화적인 종교 단체의 활동을 범죄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법의 잣대는 폭력적인 행위에 대한 증거나 혐의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적용됐다. 러시아 정교회 모스크바 총대주교청(ROC-MP)에 특별한 지위와 특권을 부여하는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개신교를 향한 억압의 손길
특히 개신교 공동체를 향한 압박이 거셌다. 당국은 여러 개신교 단체들이 외국 종교 공동체와 가깝다는 이유로 기소했다. ‘뉴 제너레이션 교회’와 관련된 자료를 소셜 미디어에 올린 한 성도는 강제 노동형을 선고받았고, ‘국제 변화 센터 교회’의 목사 영상을 상영했다는 이유로 다른 목사가 구금되기도 했다.
심지어 2025년 3월에는 ‘지방 교회’(the Local Church)에서 배포하는 ‘회복역 신약성경’(The New Testament: The Restoration Translation)이 ‘극단주의’ 출판물로 지정되는 일도 있었다. 또한, 우크라이나 전쟁에 참여하지 말 것을 설교했던 한 오순절 교회 목사는 예배 중 설교를 문제 삼아 체포되기도 했다.
양심적 병역 거부자와 여호와의 증인
2017년 러시아 대법원이 여호와의 증인을 ‘극단주의’ 단체로 규정한 이후, 박해는 더욱 노골적으로 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법 집행관들은 2,200곳에 달하는 여호와의 증인 가정을 수색했고 860명 이상을 형사 고발했다.
2025년 5월 기준으로 약 180명의 신도가 구금, 투옥, 가택 연금 등의 상태에 놓여 있다. 예배 모임에 참여했다는 이유만으로 수억 원의 벌금형이 내려지거나, 자신의 신앙을 다른 사람에게 나눴다는 이유로 6년 이상의 징역형을 선고받는 사례도 있었다.
종교적 신념에 따라 병역을 거부하는 이들도 박해를 피하지 못했다. 러시아 헌법은 대체 복무 권리를 명시하고 있지만, 우크라이나 전쟁에 동원되는 이들에게는 이 권리가 적용되지 않았다. 신앙을 이유로 군 복무를 거부한 한 오순절 성도는 2년 8개월의 징역형을 선고받고 교도소에 수감됐다.
점령지에서의 참혹한 현실
러시아가 점령한 우크라이나 영토 내 기독교 공동체의 상황은 더욱 심각했다. 러시아 당국은 우크라이나 정교회(OCU),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교회, 여호와의 증인을 비롯해 침례교, 오순절 등 다양한 개신교 교단을 금지했다. 이는 러시아 정교회의 지배력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2022년 전면 침공 이후 최소 47명의 종교 지도자가 살해되었고, 640개 이상의 예배당과 종교 유적이 파괴되거나 손상되었다. 러시아 정교회로의 이전을 거부했다는 이유로 한 우크라이나 정교회 사제는 간첩 혐의를 뒤집어쓰고 14년 형을 선고받았으며,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사제들은 구금 중 구타와 고문을 당했다는 유엔 인권 보고서 내용도 공개됐다.
USCIRF는 이러한 상황을 근거로 2017년부터 미 국무부에 러시아를 ‘특별우려국(CPC)’으로 지정할 것을 권고해왔으며, 이 지정은 2021년부터 계속 유지되고 있다. 위원회는 종교 자유 침해에 책임이 있는 러시아 정부 기관과 관리에 대한 표적 제재를 가할 것을 촉구했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