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6. 빛, 그 찬란하고 거룩한 신성(神性) 앞에서
페이지 정보
응목사 (172.♡.♡.86)ㆍ2025-10-13 23:51관련링크
본문
2-26. 빛, 그 찬란하고 놀랍고 거룩한 신성(神性) 앞에서
① 빛이 왜 있어야 하는가?
죄인 된 인간이 어찌 감히 빛을 논하랴.
하나님은 자신을 가리켜 빛이라 하시었고 그 분의 창조는 “빛이 있으라!”부터 시작되었다.
빛 앞에서 우리는 두려움에 떨며 겸손히 엎드릴 수밖에 없다.
빛 되신 하나님은 우리의 폐부를 감찰하시고 우리의 죄를 다 아시며 진리로 인도하는 등불이 되시고 우리의 영원한 생명이 되신다.
세상에 가득한 이 빛이 무엇인가? 우리는 빛 가운데 살며 빛을 보며 산다. 그런데 우리는 빛이란 당연히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빛이 우주에 충만한 가장 중요한 것임에도 우리는 빛의 고마움조차 잊어버리고 산다.
빛이 왜 있어야 하는가? 빛이 없으면 안 되는가? 빛이 없다고 별들이, 우주만물이 없어지는가? 빛이 그것들에게 무슨 상관인가? 목성과 토성이 빛이 있고 눈이 있어서 제 자리를 운행하는가? 천왕성과 해왕성이 빛 없는 깜깜한 공간을 돈다고 누가 뭐라 할 것인가? 태양은 왜 빛을 내는가? 태양 자신에게 빛이 무슨 소용인가? 별들이 무엇 때문에 빛을 내어야 하는가? 왜 우주만유의 모든 존재는 빛으로 인하여 그 존재를 나타내며, 빛을 발하고 빛을 반사하며, 빛 가운데 함께 거하며, 빛으로 인하여 자신들을 숨김없이 드러내고 나타내어야 하는가?
만일 빛이 없다면......., 우주공간을 채운 수많은 별들이 빛을 발하지 않고, 태양이 빛을 내지 아니하고, 목성과 토성이 그 모습을 감춘 채 깜깜한 암흑 속에 눈을 꼭 감고서 유령들처럼 돈다 하여 그것들에게 무슨 상관, 무슨 문제가 있는가? 도대체 빛은 왜 있으며 무엇 때문에 필요한가? 우리는 태양과 같은 항성들이 수소연료를 핵융합하면서 높은 온도와 빛을 내는 것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지만 높은 열을 내는 것이 빛과 무슨 상관이란 말인가?
왜 빛이 있어야 하는가? 그렇다. 빛은 보는 자를 위한 것이다. 보는 자가 없다면 빛은 아무 필요가 없다. 존재는 그 존재를 인식하는 자가 없으면 의미가 없다. 모든 존재는 그 존재를 보고 인식하는 존재에 의하여 비로소 존재의 의미와 가치를 가진다. 보아주고 인식해 주는 존재가 없다면, 만일 빛이 없고, 그래서 우주만유를 볼 수 없고, 보아주는 존재, 그 존재들을 인식하는 지적존재도 없다면, 물질세계, 우주만유가 무슨 존재가치와 의미를 가질 것인가?
빛이 있다는 것은 만유를 보고 인식함으로써 만유의 존재가치를 부여하는 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② 빛의 본질이 무엇인가?
물질세계가 우연히 생겨난 것이라고 믿는 자들에게는 빛도 단지 우연의 산물일 뿐이다. 그러나 그들은 빛이 무엇인지 과학적으로 설명하지 못 한다. 빛은 파동도 아니고 알갱이도 아니다. 빛의 본질이 무엇인지, 빛이 어떻게 아득히 먼 곳에서까지 흐트러짐 없이 도달할 수 있는지, 아무리 희미한 빛이라도 어떻게 끝없이 갈 수 있는지 그 이유를 설명할 수가 없다. 빛은 과학자들에게 이해할 수 없는 초과학적 현상이며 기적이다. 그러나 우리에게 빛은 창조의 증거다. 창조주를 아는 이들에게 빛은 놀라운 하나님의 능력이다. 빛은 자신이 창조한 우주만유를 우리와 함께 바라보며 공유하기를 원하시는 하나님의 사랑이요 배려이다. 그래서 하나님의 창조는 “빛이 있으라.”부터 시작되었다.
빛, 빛은 물질세계의 모든 존재를 드러낸다. 빛은 빛의 속도로 직진한다. 빛은 반사하고 굴절하고 산란을 일으킨다. 빛은 분산되기도 하고 모아지기도 한다. 빛은 프리즘을 통하여 아름다운 무지갯빛으로 분광도 된다. 광학이라는 과학분야가 있지만, 그러나 현대과학은 빛이 무엇인지를 모르고 있다. 현대과학은 빛을 무엇이라고 물리학적으로 정의하지 못 하고 있으며 빛의 정체를 규명하거나 파악하지도 못 하고 있다.
빛을 파동(波動)이라고 정의한 시대가 있었다. 그래서 빛이 파동이라면 그 파동을 전달할 매개체(媒介體)가 있어야 하므로 우주공간은 진공이 아니라 에테르라는 물질로 가득 차 있다고 생각했었다.
빛을 광자(光子)의 활동이라고 생각했던 시대도 있었다. 빛을 금속에 비추면 전자가 튀어나오는 광전효과(光電效果) 때문에 그렇게 생각한 것이다. 그래서 한 때 과학자들은 광자를 뿜어내는 광자로켓을 만들면 광속 우주여행이 가능할 거라고 생각했다.
빛은 파동과 입자, 두 가지의 성질을 다 가지고 있다. 그러나 빛은 파동도 아니고 입자도 아니다. 만일 빛이 파동이라면 제각기 달리는 수많은 광선의 파동들이 뒤엉기고 부딪히고 간섭하여 빛은 한 걸음도 앞으로 제대로 나아갈 수 없을 것이다. 만일 빛이 광자라는 알갱이들이라면 그 빛의 알갱이들의 수(數)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므로 거리가 조금만 떨어지면 광자 알갱이들이 부족하여 보이는 곳도 있고 보이지 않는 곳도 생기게 될 것이며 결국은 광자 알갱이부족으로 보이지 않게 될 것이다.
아주 작은 한 점이라도 그 점은 사방 어느 위치에서나 보인다. 아무리 먼 곳 희미한 빛이라 해도, 아무리 작고 미세해도 망원경이나 현미경을 크게 만들고 확대하면 다 볼 수 있다. 이것은 빛이 파동도 아니고 숫자의 한계를 가지는 광자 알갱이(粒子)도 아니라는 뜻이다.
어느 한 점은 무수히 많다. 그 모든 어느 한 점들이 모두 빛으로 자신들의 위치를 나타낸다. 그러나 그 점들이 각기 내보내고 반사하는 빛이 서로 무한대로 부딪히고 엇갈린다 해도 그 빛들은 서로에게 방해도 되지 아니하고 간섭도 일으키지 않고 직진한다.
나무를 바라보라. 수많은 나뭇잎이 모두 빛으로 자신의 위치를 나타낸다. 각 나뭇잎들은 사방팔방으로 자신의 모양의 빛을 보낸다. 바로 옆의 나뭇잎도, 그 옆의 나뭇잎도, 모든 나뭇잎들이 다 자신을 빛으로 나타낸다. 그런데 그 각자의 빛이 서로 부딪히거나 간섭하지 않는다. 당신이 친구와 함께 나란히 앉아 바라본다 해도 그 교차하는 시선들은 전혀 간섭을 일으키거나 빛을 독점하지 않는다. 여러 사람이 동시에 플래시라이트를 들고 한 곳을 향해 이 곳 저 곳에서 이리저리 비춘다 해도, 그 비추는 불빛들이 서로 엇갈리어도 충돌하지도 않고 아무 문제없이 직진한다.
온 세상을 가득 채우고 이리저리 달리는 빛, 그 빛은 파동일 수가 없다. 입자일 수도 없다. 과학자들은 빛이 파동과 입자의 두 가지 성질을 모두 가진다 하여 ‘duality'라고 말하지만 duality로 설명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빛, 입자도 파동도 아닌 빛이 입자와 파동의 성질을 모두 가지는 것부터가 신비스러운 일이다. 빛이 입자도 파동도 아니라면 어떤 기운이나 힘이란 말인가? 기운이나 힘인 것 같기도 하다. 전기, 자기력이나 인력 같은 힘이나 기운 말이다. 그러나 그것도 온전한 설명이 아니다. 빛이 만일 그러한 기운이나 힘이라면 그 역시 서로를 밀치고 섞여서 직진이 불가능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빛은 입자, 파동, 힘(기운), 모두의 성질을 모두 가지나 모두 아니다.
③ 빛은 전자기파(電磁氣波)인가?
현대물리학은 빛을 전자기파(電磁氣波)로 분류한다. 파동이라는 빛의 성질을 가지고 분류한 거다. 우리가 볼 수 있는 파장범위의 빛을 가시광선(可視光線)이라고 부른다.
우리는 소리를 듣는다. 소리는 공기의 떨림, 즉 공기의 파동이다. 소리의 파동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판자를 들고서 공기를 민다고 생각해보자. 다시 판자를 끌어당겨 공기를 끌어당긴다고 생각해보자. 공기가 판자에 밀릴 때는 압축되어 압력이 높아지고 반대로 판자에 의해 끌어당겨질 때는 약간의 진공이 생겨 비게 될 것이다. 공기의 압축되고 팽창된 변화의 물결이나 파도 같은 파동이 생길 것이다.
판자를 계속해서 밀고 당겨 보자. 빠르게 해보자. 그러면 공기가 압축되고 팽창된 변화가 앞으로 마치 연못의 물결처럼 사방으로 퍼져나갈 것이다. 더 빠르게 이 파동을 만들면 이것이 소리이다. 우리는 그 공기의 압축과 팽창의 변화를 귀로 인식함으로 소리를 듣는다. 소리는 섭씨 0도에서 1초에 약 340 미터를 진행한다. 이것을 우리는 음속(音速)이라고 부른다.
우리가 모든 주파수의 소리를 다 들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1초당 약 20번에서 1만 5천 번 진동하는 음파만을 들을 수 있다. 진동수가 낮으면 굵고 낮은 소리가 되고 진동수가 높으면 가늘고 높은 소리가 된다. 사람마다 귀가 다르고 듣는 능력이 다르다. 나이 들면 고음영역이 잘 들리지 않게 된다. 젊은 사람들끼리 “삐- ” 높은 음역의 소리로 신호를 주고받아도 나이 든 사람들에게 그 소리는 전혀 안 들린다. 고막이 굳고 둔해져서 고진동수의 음파에는 반응하지 못 하기 때문이다. 집 근처 광장에 청소년들이 모여 떠들어대는 게 싫어서 청소년들에게는 들리고 나이 든 사람에게는 전혀 안 들리는 주파수로 고음을 만들어 방송한 사람도 있단다. 그랬더니 청소년들이 고음이 듣기 싫어 더 이상 안 모이더란다.
진동수가 높은 소리일수록 똑바로 멀리 잘 나간다. 인간이 들을 수 없는 파장의 소리를 초음파(超音波, Ultra Sonic)라고 부른다. 개나 토끼 같은 동물들은 매우 예민한 고막을 갖고 있어 인간이 들을 없는 주파수의 초음파를 듣고, 박쥐는 초음파를 보내어 반사되어 오는 반향(反響, 메아리)으로 물체를 식별하기도 한다. 고래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체를 탐지하거나 서로 교신을 하기도 한다. 병원에서는 초음파의 반향(反響)을 이용하여 환자의 몸 내부를 살피는 초음파검사를 하고, 산업현장에서는 초음파로 금속내부의 결함을 검사하기도 한다. 그러나 사람에게는 전혀 들리지 않는다.
빛의 파장도 이런 점에서는 음파와 비슷하다. 빛은 파장에 따라 다르다. 인간은 파장이 400 나노미터에서 700 나노미터(1 나노미터는 10억분의 1 미터이다)인 빛만을 볼 수 있다. 인간의 시신경이 이 파장 범위의 빛에만 반응하기 때문이다. 이 범위의 광선을 ‘볼 수 있는 광선’, 즉 가시광선(可視光線)이라고 부른다. 아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시광선 주파수대는 자외선과 적외선 사이의 매우 좁은 범위이다. 사람에 따라서 약간 차이가 있다. 벌과 같은 곤충이나 물고기는 인간과 다른 파장, 즉 자외선을 볼 수 있고, 뱀이나 개구리 같은 양서류 동물이나 올빼미 같이 야간에 활동하는 동물들은 파장이 긴 적외선을 보기도 한다. 군인들의 야간투시경은 적외선을 이용하여 어둠 속의 적을 식별한다.
빛은 파장이 짧으면 투과력이 강해지고 파장이 길면 열이 많이 난다. 빛의 파장이 가시광선 보다 짧아지면 자외선(紫外線)이 된다. 자외선은 피부를 약간 통과하면서 피부를 태운다. 해변이나 고지대에서, 그리고 눈이 덮인 고산지역에서 피부가 쉽게 타는 것은 자외선 때문이다. 자외선은 그 투과력 때문에 살균효과도 높다. 자외선이 살균효과를 가진다는 것은 그 투과력과 열 때문에 작은 생명체를 태워 죽인다는 뜻이다. 그러나 지구는 고공에 오존층이 있어서 태양으로부터 날아오는 자외선을 99%까지 차단한다. 오존층이 없었다면 지구상의 생명체는 자외선 때문에 살아남기 어려웠을 것이다.
지구상에서 가장 고도가 낮은 곳은 이스라엘의 사해(死海)이다. 해발 마이너스 400 미터, 해수면보다 무려 400 미터나 더 낮다. 사해는 몸이 둥둥 뜨는 진한 소금물과 미용효과 높다는 검은색 진흙뻘로도 유명하지만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자외선이 거의 닿지 않는 곳이기도 하다. 그래서 사해에서는 자외선 차단제나 선크림을 바를 필요가 없다고 한다. 태양광선이 400 미터의 공기를 더 내려오면서 1%의 자외선마저 차단되기 때문이란다.
광선이 자외선 보다 파장이 더 짧아지면 엑스선(X-Ray)이 된다. 투과력이 좋기 때문에 인체내부를 엑스선으로 촬영하여 진단한다. 엑스선 보다 파장이 더 짧아지면 감마선(γ ray)이 된다. 감마선은 훨씬 강력한 투과성을 갖기 때문에 금속의 내부를 촬영하여 결함을 찾는데도 사용된다. 방사선(放射線)이란 엑스레이부터 시작하여 투과성을 가지는 모든 광선을 총칭한다. 핵분열이나 핵융합에서는 많은 방사선이 나온다. 핵폭탄이나 원자력발전소에서 나오는 알파선이나 베타선은 그리 큰 투과성을 가지지 않지만 감마선은 큰 투과력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암 치료에도 감마선 같은 방사선이 사용된다. 방사선을 쬐어서 암세포를 태워 죽이자는 이야기다. 방사선치료는 암세포가 죽기는 하지만 정상세포들도 손상을 입는 것이 문제다.
방사선은 사실 우리 주변에 가득하다. 우리 눈에 안 보이지만 태양에서도 날아오고 우주에서도 날아온다. 땅에서나 암석에서도 나오고 석조건물 벽에서도 나온다. 텔레비전이나 컴퓨터 모니터에서도 나온다. 그러나 그 세기가 약하기 때문에 큰 영향이 없는 것이다.
이제 반대쪽, 긴 쪽으로 가보자. 가시광선 보다 파장이 길어지면 투과력이 줄어드는 대신 열을 발생한다. 이것이 적외선이다. 적외선은 미장원에서 머리 말리는 데도 쓰고 온열치료에 이용되기도 한다. 열상카메라를 만들어 야간에 동물이나 사람을 식별하는데도 쓰고 어둠 속에서 침투하는 적을 식별하기 위한 군용 적외선야간투시경도 만든다. 적외선 보다 더욱 파장이 길어지면 마이크로웨이브가 되고 전파가 된다. 전파도 단파, 중파, 장파가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진다. 마이크로웨이브는 그 전자기파의 진동수로 전하(電荷)를 플러스, 마이너스로 바꾸면서 물 분자를 뱅글뱅글 돌려 그 마찰로 물의 온도를 높인다. 마이크로웨이브 전자오븐의 원리다.
전자기파(電磁氣波)란 무엇인가? 전기(電氣)와 자기(磁氣)가 만들어내는 파동이다. 소리와 비슷하게 말이다. 플레밍의 오른손, 왼손법칙에서 본 바와 같이 전기가 움직이면 자기가 발생하고 자기가 움직이면 전기가 발생한다. 이것이 발전기(오른손 법칙)와 전동기(왼손 법칙)의 원리이다.
전하를 가진 입자를 흔들면 그 직각방향으로 자기가 발생한다. 만일 내가 전하를 띤 작은 입자 한 개를 들고서 앞뒤로 흔들면, 앞으로 밀 때 자기(磁氣)가 왼편 직각방향으로 생기고, 뒤로 당길 때 자기가 오른편 직각방향으로 발생한다. 전하를 띤 입자를 빠르게 앞뒤로 밀고 당기면 자기(磁氣)도 빠르게 좌우로 방향을 바꾸면서 발생하여 파동을 일으키게 된다. 이렇게 전기와 자기의 합친 파동이 전파(電波)이다.
만일 내가 그것을 1초에 970만 번 강력하게 흔들면 970 킬로헬츠(970 k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파가 발생하여 여러분이 듣고 계신 라디오가 방해전파를 받게 될 것이다. 그 속도를 1초에 억(億), 조(兆), 경(京), 해(亥).... 올려 가면 단파전파, 마이크로웨이브, 적외선을 거쳐 빛으로, 방사선으로 바뀔 것이다.
이렇게 보면 빛은 물리학적으로 볼 때 한 부분의 전자기파이다. 눈으로 볼 수 없는 전자기파는 감마선, 엑스선, 자외선, 적외선, 그리고 전파이고, 눈으로 볼 수 있는 전자기파는 빛이라면, 우리는 빛을 간단하게 일종의 전자기파의 범주에 넣어버리면 될 듯 하기도 하다. 그러나 빛은 그렇게 간단하게 특정주파수를 가지는 전자기파로 정의될 수 없다. 설명할 수 없는 너무나 신비스러운 빛의 현상과 능력 때문이다.
④ 빛은 전능하신 하나님의 선물이다, 놀라운 신비다.
다시 가시광선(可視光線)으로 돌아가 보자. 인간이 볼 수 있는 파장은 약 380에서 770 나노미터까지다. 매우 좁은 파장범위이다. 그런데 이 좁은 파장범위 안에서 인간은 빛의 말할 수 없이 현란한 색깔을 본다. 빨주노초파남보....... 말로 형용할 수 없는 아름다운 빛깔의 변화를 말이다.
파장 700~730 nm 근방에서는 빨강색이 된다. 파장 640 nm 근방에서는 주황색이 되고 파장 600 nm 근방에서는 노랑색이 된다.
파장 550 nm 근방에서는 녹색이 되고 파장 500 nm 근방에서는 하늘색, 푸른색이 된다. 파장이 440 nm 근방이 되면 남색이 되고 400 nm 근방에서는 보라색이 된다. 파장이 조금만 달라져도 우리는 오묘한 빛깔의 변화를 보게 되는 것이다.
우리는 어떻게 이 약간의 주파수 변화를 빨강, 노랑, 파랑......, 현란한 색깔의 변화로 바꾸어 인식하게 되는 것일까? 물리학적으로는 약간의 파장의 변화일 뿐인데 그 빛들과 색깔들이 합쳐지고 나누어지며 만들어내는 무쌍한 변화는 우주만유 피조세계를 아름답고 현란하게 채색한다. 이것이 무슨 조화(造化)란 말인가? 과학자들은 대답해 보라. 380 나노미터에서 770 나노미터 사이의 파장이 어떻게 보라색, 푸른색, 노란색, 빨간색으로 바뀌는지 설명이 되는가?
이것은 양성자 수, 전자의 수, 즉 원자번호의 변화에 의하여 모든 물질의 원소가 바뀌는 것 보다 더욱 신비한 일이다. 어째서 인간은 특정주파수의 전자기파를 누구나 똑같은 색깔로 인식한단 말인가? 인간들이, 지구상의 생명체들이 전자기파의 주파수의 변화를 특정색깔들로 바꾸어 인식하는 장치를 만들어 나누어가졌단 말인가? 빛깔이 무엇인가? 색맹인 사람에게는 빨간색이 무엇이라고 설명해 줄 방법이 없다. 빛을 모르는 자에게 무지갯빛 아름다운 색깔의 변화가 주는 황홀함과 저녁노을이 주는 감동을 전해 줄 방법이 없다. “빨강색이 뭔데? 파랑색이 어떤 건데?”
빛의 놀라운 능력을 보라. 그 놀라운 영롱한 빛깔을 보라. 영원하신 신성과 영광을 보라. 그 찬란하고 아름다운 빛이 우연히 생겨났다고 말하지 말라. 원시생명체가 빛이 있었다는 것을 알았더라고 말하지 말라. 원시생명체가 그 빛을 보기 위하여 눈을 만들었다고 말하지 말라. 삼엽충 같은 원시생명체가 전자기파의 존재를 감지하고 파장의 범위로 색깔을 구분하는 방법을 고안해내고 진화를 통하여 후대에 전했다고 말하지 말라. 그것들이 눈을 만들기 위하여 머리에다 두 개의 구멍을 내고 눈탱이가 밤탱이 같은 눈알을 박아 넣고 그걸 진화시키느라 수백만 년, 수천만 년, 수억 년 고생했다는 터무니없는 이야길랑 하지를 말라. 그들이 빛의 주파수별로 특정색깔을 느끼도록 분류시스템을 고안해 내고 같은 파장에서 같은 색깔로 느끼기로 합의했다고 말하지 말라. 파장 700 나노미터는 빨강색으로 느끼고, 600 나노미터는 노랑색으로 느끼고, 500 나노미터는 파란 색으로 느끼며 그 파장의 미묘한 차이를 찬란하고 변화무쌍한 빛깔로 인식하는 방법을 단세포 원생동물이, 벌레들이나, 원숭이나, 호모사피엔스, 북경원인, 끄로마뇽인, 네안델타르인 같은 유원인들이 합의하여 개발해 내었다고 말하지 말라, 400~700 나노미터의 파장에 그 현란한 변화와 아름다운 색감을 부여하고 그 빛깔로 그 분의 광활한 피조세계를 눈부시게 채색하신 놀라우신 창조주 앞에서, 그 지으신 피조물들에게 빛을 볼 수 있는 눈을 주신 사랑의 하나님, 엄위하시고 거룩하신 영광 앞에서.
다시 한 번 빛이 도대체 무엇인가 생각해 보라. 입자도 아니고 파동도 아닌 이 기이한 자연현상을 창조해내신 하나님을 다시금 생각해 보라. 아, 빛, 이 하나만 생각해도 하나님의 놀라우신 창조의 능력에 가슴이 벅차다.
① 빛이 왜 있어야 하는가?
죄인 된 인간이 어찌 감히 빛을 논하랴.
하나님은 자신을 가리켜 빛이라 하시었고 그 분의 창조는 “빛이 있으라!”부터 시작되었다.
빛 앞에서 우리는 두려움에 떨며 겸손히 엎드릴 수밖에 없다.
빛 되신 하나님은 우리의 폐부를 감찰하시고 우리의 죄를 다 아시며 진리로 인도하는 등불이 되시고 우리의 영원한 생명이 되신다.
세상에 가득한 이 빛이 무엇인가? 우리는 빛 가운데 살며 빛을 보며 산다. 그런데 우리는 빛이란 당연히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빛이 우주에 충만한 가장 중요한 것임에도 우리는 빛의 고마움조차 잊어버리고 산다.
빛이 왜 있어야 하는가? 빛이 없으면 안 되는가? 빛이 없다고 별들이, 우주만물이 없어지는가? 빛이 그것들에게 무슨 상관인가? 목성과 토성이 빛이 있고 눈이 있어서 제 자리를 운행하는가? 천왕성과 해왕성이 빛 없는 깜깜한 공간을 돈다고 누가 뭐라 할 것인가? 태양은 왜 빛을 내는가? 태양 자신에게 빛이 무슨 소용인가? 별들이 무엇 때문에 빛을 내어야 하는가? 왜 우주만유의 모든 존재는 빛으로 인하여 그 존재를 나타내며, 빛을 발하고 빛을 반사하며, 빛 가운데 함께 거하며, 빛으로 인하여 자신들을 숨김없이 드러내고 나타내어야 하는가?
만일 빛이 없다면......., 우주공간을 채운 수많은 별들이 빛을 발하지 않고, 태양이 빛을 내지 아니하고, 목성과 토성이 그 모습을 감춘 채 깜깜한 암흑 속에 눈을 꼭 감고서 유령들처럼 돈다 하여 그것들에게 무슨 상관, 무슨 문제가 있는가? 도대체 빛은 왜 있으며 무엇 때문에 필요한가? 우리는 태양과 같은 항성들이 수소연료를 핵융합하면서 높은 온도와 빛을 내는 것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지만 높은 열을 내는 것이 빛과 무슨 상관이란 말인가?
왜 빛이 있어야 하는가? 그렇다. 빛은 보는 자를 위한 것이다. 보는 자가 없다면 빛은 아무 필요가 없다. 존재는 그 존재를 인식하는 자가 없으면 의미가 없다. 모든 존재는 그 존재를 보고 인식하는 존재에 의하여 비로소 존재의 의미와 가치를 가진다. 보아주고 인식해 주는 존재가 없다면, 만일 빛이 없고, 그래서 우주만유를 볼 수 없고, 보아주는 존재, 그 존재들을 인식하는 지적존재도 없다면, 물질세계, 우주만유가 무슨 존재가치와 의미를 가질 것인가?
빛이 있다는 것은 만유를 보고 인식함으로써 만유의 존재가치를 부여하는 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② 빛의 본질이 무엇인가?
물질세계가 우연히 생겨난 것이라고 믿는 자들에게는 빛도 단지 우연의 산물일 뿐이다. 그러나 그들은 빛이 무엇인지 과학적으로 설명하지 못 한다. 빛은 파동도 아니고 알갱이도 아니다. 빛의 본질이 무엇인지, 빛이 어떻게 아득히 먼 곳에서까지 흐트러짐 없이 도달할 수 있는지, 아무리 희미한 빛이라도 어떻게 끝없이 갈 수 있는지 그 이유를 설명할 수가 없다. 빛은 과학자들에게 이해할 수 없는 초과학적 현상이며 기적이다. 그러나 우리에게 빛은 창조의 증거다. 창조주를 아는 이들에게 빛은 놀라운 하나님의 능력이다. 빛은 자신이 창조한 우주만유를 우리와 함께 바라보며 공유하기를 원하시는 하나님의 사랑이요 배려이다. 그래서 하나님의 창조는 “빛이 있으라.”부터 시작되었다.
빛, 빛은 물질세계의 모든 존재를 드러낸다. 빛은 빛의 속도로 직진한다. 빛은 반사하고 굴절하고 산란을 일으킨다. 빛은 분산되기도 하고 모아지기도 한다. 빛은 프리즘을 통하여 아름다운 무지갯빛으로 분광도 된다. 광학이라는 과학분야가 있지만, 그러나 현대과학은 빛이 무엇인지를 모르고 있다. 현대과학은 빛을 무엇이라고 물리학적으로 정의하지 못 하고 있으며 빛의 정체를 규명하거나 파악하지도 못 하고 있다.
빛을 파동(波動)이라고 정의한 시대가 있었다. 그래서 빛이 파동이라면 그 파동을 전달할 매개체(媒介體)가 있어야 하므로 우주공간은 진공이 아니라 에테르라는 물질로 가득 차 있다고 생각했었다.
빛을 광자(光子)의 활동이라고 생각했던 시대도 있었다. 빛을 금속에 비추면 전자가 튀어나오는 광전효과(光電效果) 때문에 그렇게 생각한 것이다. 그래서 한 때 과학자들은 광자를 뿜어내는 광자로켓을 만들면 광속 우주여행이 가능할 거라고 생각했다.
빛은 파동과 입자, 두 가지의 성질을 다 가지고 있다. 그러나 빛은 파동도 아니고 입자도 아니다. 만일 빛이 파동이라면 제각기 달리는 수많은 광선의 파동들이 뒤엉기고 부딪히고 간섭하여 빛은 한 걸음도 앞으로 제대로 나아갈 수 없을 것이다. 만일 빛이 광자라는 알갱이들이라면 그 빛의 알갱이들의 수(數)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므로 거리가 조금만 떨어지면 광자 알갱이들이 부족하여 보이는 곳도 있고 보이지 않는 곳도 생기게 될 것이며 결국은 광자 알갱이부족으로 보이지 않게 될 것이다.
아주 작은 한 점이라도 그 점은 사방 어느 위치에서나 보인다. 아무리 먼 곳 희미한 빛이라 해도, 아무리 작고 미세해도 망원경이나 현미경을 크게 만들고 확대하면 다 볼 수 있다. 이것은 빛이 파동도 아니고 숫자의 한계를 가지는 광자 알갱이(粒子)도 아니라는 뜻이다.
어느 한 점은 무수히 많다. 그 모든 어느 한 점들이 모두 빛으로 자신들의 위치를 나타낸다. 그러나 그 점들이 각기 내보내고 반사하는 빛이 서로 무한대로 부딪히고 엇갈린다 해도 그 빛들은 서로에게 방해도 되지 아니하고 간섭도 일으키지 않고 직진한다.
나무를 바라보라. 수많은 나뭇잎이 모두 빛으로 자신의 위치를 나타낸다. 각 나뭇잎들은 사방팔방으로 자신의 모양의 빛을 보낸다. 바로 옆의 나뭇잎도, 그 옆의 나뭇잎도, 모든 나뭇잎들이 다 자신을 빛으로 나타낸다. 그런데 그 각자의 빛이 서로 부딪히거나 간섭하지 않는다. 당신이 친구와 함께 나란히 앉아 바라본다 해도 그 교차하는 시선들은 전혀 간섭을 일으키거나 빛을 독점하지 않는다. 여러 사람이 동시에 플래시라이트를 들고 한 곳을 향해 이 곳 저 곳에서 이리저리 비춘다 해도, 그 비추는 불빛들이 서로 엇갈리어도 충돌하지도 않고 아무 문제없이 직진한다.
온 세상을 가득 채우고 이리저리 달리는 빛, 그 빛은 파동일 수가 없다. 입자일 수도 없다. 과학자들은 빛이 파동과 입자의 두 가지 성질을 모두 가진다 하여 ‘duality'라고 말하지만 duality로 설명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빛, 입자도 파동도 아닌 빛이 입자와 파동의 성질을 모두 가지는 것부터가 신비스러운 일이다. 빛이 입자도 파동도 아니라면 어떤 기운이나 힘이란 말인가? 기운이나 힘인 것 같기도 하다. 전기, 자기력이나 인력 같은 힘이나 기운 말이다. 그러나 그것도 온전한 설명이 아니다. 빛이 만일 그러한 기운이나 힘이라면 그 역시 서로를 밀치고 섞여서 직진이 불가능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빛은 입자, 파동, 힘(기운), 모두의 성질을 모두 가지나 모두 아니다.
③ 빛은 전자기파(電磁氣波)인가?
현대물리학은 빛을 전자기파(電磁氣波)로 분류한다. 파동이라는 빛의 성질을 가지고 분류한 거다. 우리가 볼 수 있는 파장범위의 빛을 가시광선(可視光線)이라고 부른다.
우리는 소리를 듣는다. 소리는 공기의 떨림, 즉 공기의 파동이다. 소리의 파동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판자를 들고서 공기를 민다고 생각해보자. 다시 판자를 끌어당겨 공기를 끌어당긴다고 생각해보자. 공기가 판자에 밀릴 때는 압축되어 압력이 높아지고 반대로 판자에 의해 끌어당겨질 때는 약간의 진공이 생겨 비게 될 것이다. 공기의 압축되고 팽창된 변화의 물결이나 파도 같은 파동이 생길 것이다.
판자를 계속해서 밀고 당겨 보자. 빠르게 해보자. 그러면 공기가 압축되고 팽창된 변화가 앞으로 마치 연못의 물결처럼 사방으로 퍼져나갈 것이다. 더 빠르게 이 파동을 만들면 이것이 소리이다. 우리는 그 공기의 압축과 팽창의 변화를 귀로 인식함으로 소리를 듣는다. 소리는 섭씨 0도에서 1초에 약 340 미터를 진행한다. 이것을 우리는 음속(音速)이라고 부른다.
우리가 모든 주파수의 소리를 다 들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1초당 약 20번에서 1만 5천 번 진동하는 음파만을 들을 수 있다. 진동수가 낮으면 굵고 낮은 소리가 되고 진동수가 높으면 가늘고 높은 소리가 된다. 사람마다 귀가 다르고 듣는 능력이 다르다. 나이 들면 고음영역이 잘 들리지 않게 된다. 젊은 사람들끼리 “삐- ” 높은 음역의 소리로 신호를 주고받아도 나이 든 사람들에게 그 소리는 전혀 안 들린다. 고막이 굳고 둔해져서 고진동수의 음파에는 반응하지 못 하기 때문이다. 집 근처 광장에 청소년들이 모여 떠들어대는 게 싫어서 청소년들에게는 들리고 나이 든 사람에게는 전혀 안 들리는 주파수로 고음을 만들어 방송한 사람도 있단다. 그랬더니 청소년들이 고음이 듣기 싫어 더 이상 안 모이더란다.
진동수가 높은 소리일수록 똑바로 멀리 잘 나간다. 인간이 들을 수 없는 파장의 소리를 초음파(超音波, Ultra Sonic)라고 부른다. 개나 토끼 같은 동물들은 매우 예민한 고막을 갖고 있어 인간이 들을 없는 주파수의 초음파를 듣고, 박쥐는 초음파를 보내어 반사되어 오는 반향(反響, 메아리)으로 물체를 식별하기도 한다. 고래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체를 탐지하거나 서로 교신을 하기도 한다. 병원에서는 초음파의 반향(反響)을 이용하여 환자의 몸 내부를 살피는 초음파검사를 하고, 산업현장에서는 초음파로 금속내부의 결함을 검사하기도 한다. 그러나 사람에게는 전혀 들리지 않는다.
빛의 파장도 이런 점에서는 음파와 비슷하다. 빛은 파장에 따라 다르다. 인간은 파장이 400 나노미터에서 700 나노미터(1 나노미터는 10억분의 1 미터이다)인 빛만을 볼 수 있다. 인간의 시신경이 이 파장 범위의 빛에만 반응하기 때문이다. 이 범위의 광선을 ‘볼 수 있는 광선’, 즉 가시광선(可視光線)이라고 부른다. 아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시광선 주파수대는 자외선과 적외선 사이의 매우 좁은 범위이다. 사람에 따라서 약간 차이가 있다. 벌과 같은 곤충이나 물고기는 인간과 다른 파장, 즉 자외선을 볼 수 있고, 뱀이나 개구리 같은 양서류 동물이나 올빼미 같이 야간에 활동하는 동물들은 파장이 긴 적외선을 보기도 한다. 군인들의 야간투시경은 적외선을 이용하여 어둠 속의 적을 식별한다.
빛은 파장이 짧으면 투과력이 강해지고 파장이 길면 열이 많이 난다. 빛의 파장이 가시광선 보다 짧아지면 자외선(紫外線)이 된다. 자외선은 피부를 약간 통과하면서 피부를 태운다. 해변이나 고지대에서, 그리고 눈이 덮인 고산지역에서 피부가 쉽게 타는 것은 자외선 때문이다. 자외선은 그 투과력 때문에 살균효과도 높다. 자외선이 살균효과를 가진다는 것은 그 투과력과 열 때문에 작은 생명체를 태워 죽인다는 뜻이다. 그러나 지구는 고공에 오존층이 있어서 태양으로부터 날아오는 자외선을 99%까지 차단한다. 오존층이 없었다면 지구상의 생명체는 자외선 때문에 살아남기 어려웠을 것이다.
지구상에서 가장 고도가 낮은 곳은 이스라엘의 사해(死海)이다. 해발 마이너스 400 미터, 해수면보다 무려 400 미터나 더 낮다. 사해는 몸이 둥둥 뜨는 진한 소금물과 미용효과 높다는 검은색 진흙뻘로도 유명하지만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자외선이 거의 닿지 않는 곳이기도 하다. 그래서 사해에서는 자외선 차단제나 선크림을 바를 필요가 없다고 한다. 태양광선이 400 미터의 공기를 더 내려오면서 1%의 자외선마저 차단되기 때문이란다.
광선이 자외선 보다 파장이 더 짧아지면 엑스선(X-Ray)이 된다. 투과력이 좋기 때문에 인체내부를 엑스선으로 촬영하여 진단한다. 엑스선 보다 파장이 더 짧아지면 감마선(γ ray)이 된다. 감마선은 훨씬 강력한 투과성을 갖기 때문에 금속의 내부를 촬영하여 결함을 찾는데도 사용된다. 방사선(放射線)이란 엑스레이부터 시작하여 투과성을 가지는 모든 광선을 총칭한다. 핵분열이나 핵융합에서는 많은 방사선이 나온다. 핵폭탄이나 원자력발전소에서 나오는 알파선이나 베타선은 그리 큰 투과성을 가지지 않지만 감마선은 큰 투과력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암 치료에도 감마선 같은 방사선이 사용된다. 방사선을 쬐어서 암세포를 태워 죽이자는 이야기다. 방사선치료는 암세포가 죽기는 하지만 정상세포들도 손상을 입는 것이 문제다.
방사선은 사실 우리 주변에 가득하다. 우리 눈에 안 보이지만 태양에서도 날아오고 우주에서도 날아온다. 땅에서나 암석에서도 나오고 석조건물 벽에서도 나온다. 텔레비전이나 컴퓨터 모니터에서도 나온다. 그러나 그 세기가 약하기 때문에 큰 영향이 없는 것이다.
이제 반대쪽, 긴 쪽으로 가보자. 가시광선 보다 파장이 길어지면 투과력이 줄어드는 대신 열을 발생한다. 이것이 적외선이다. 적외선은 미장원에서 머리 말리는 데도 쓰고 온열치료에 이용되기도 한다. 열상카메라를 만들어 야간에 동물이나 사람을 식별하는데도 쓰고 어둠 속에서 침투하는 적을 식별하기 위한 군용 적외선야간투시경도 만든다. 적외선 보다 더욱 파장이 길어지면 마이크로웨이브가 되고 전파가 된다. 전파도 단파, 중파, 장파가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진다. 마이크로웨이브는 그 전자기파의 진동수로 전하(電荷)를 플러스, 마이너스로 바꾸면서 물 분자를 뱅글뱅글 돌려 그 마찰로 물의 온도를 높인다. 마이크로웨이브 전자오븐의 원리다.
전자기파(電磁氣波)란 무엇인가? 전기(電氣)와 자기(磁氣)가 만들어내는 파동이다. 소리와 비슷하게 말이다. 플레밍의 오른손, 왼손법칙에서 본 바와 같이 전기가 움직이면 자기가 발생하고 자기가 움직이면 전기가 발생한다. 이것이 발전기(오른손 법칙)와 전동기(왼손 법칙)의 원리이다.
전하를 가진 입자를 흔들면 그 직각방향으로 자기가 발생한다. 만일 내가 전하를 띤 작은 입자 한 개를 들고서 앞뒤로 흔들면, 앞으로 밀 때 자기(磁氣)가 왼편 직각방향으로 생기고, 뒤로 당길 때 자기가 오른편 직각방향으로 발생한다. 전하를 띤 입자를 빠르게 앞뒤로 밀고 당기면 자기(磁氣)도 빠르게 좌우로 방향을 바꾸면서 발생하여 파동을 일으키게 된다. 이렇게 전기와 자기의 합친 파동이 전파(電波)이다.
만일 내가 그것을 1초에 970만 번 강력하게 흔들면 970 킬로헬츠(970 k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파가 발생하여 여러분이 듣고 계신 라디오가 방해전파를 받게 될 것이다. 그 속도를 1초에 억(億), 조(兆), 경(京), 해(亥).... 올려 가면 단파전파, 마이크로웨이브, 적외선을 거쳐 빛으로, 방사선으로 바뀔 것이다.
이렇게 보면 빛은 물리학적으로 볼 때 한 부분의 전자기파이다. 눈으로 볼 수 없는 전자기파는 감마선, 엑스선, 자외선, 적외선, 그리고 전파이고, 눈으로 볼 수 있는 전자기파는 빛이라면, 우리는 빛을 간단하게 일종의 전자기파의 범주에 넣어버리면 될 듯 하기도 하다. 그러나 빛은 그렇게 간단하게 특정주파수를 가지는 전자기파로 정의될 수 없다. 설명할 수 없는 너무나 신비스러운 빛의 현상과 능력 때문이다.
④ 빛은 전능하신 하나님의 선물이다, 놀라운 신비다.
다시 가시광선(可視光線)으로 돌아가 보자. 인간이 볼 수 있는 파장은 약 380에서 770 나노미터까지다. 매우 좁은 파장범위이다. 그런데 이 좁은 파장범위 안에서 인간은 빛의 말할 수 없이 현란한 색깔을 본다. 빨주노초파남보....... 말로 형용할 수 없는 아름다운 빛깔의 변화를 말이다.
파장 700~730 nm 근방에서는 빨강색이 된다. 파장 640 nm 근방에서는 주황색이 되고 파장 600 nm 근방에서는 노랑색이 된다.
파장 550 nm 근방에서는 녹색이 되고 파장 500 nm 근방에서는 하늘색, 푸른색이 된다. 파장이 440 nm 근방이 되면 남색이 되고 400 nm 근방에서는 보라색이 된다. 파장이 조금만 달라져도 우리는 오묘한 빛깔의 변화를 보게 되는 것이다.
우리는 어떻게 이 약간의 주파수 변화를 빨강, 노랑, 파랑......, 현란한 색깔의 변화로 바꾸어 인식하게 되는 것일까? 물리학적으로는 약간의 파장의 변화일 뿐인데 그 빛들과 색깔들이 합쳐지고 나누어지며 만들어내는 무쌍한 변화는 우주만유 피조세계를 아름답고 현란하게 채색한다. 이것이 무슨 조화(造化)란 말인가? 과학자들은 대답해 보라. 380 나노미터에서 770 나노미터 사이의 파장이 어떻게 보라색, 푸른색, 노란색, 빨간색으로 바뀌는지 설명이 되는가?
이것은 양성자 수, 전자의 수, 즉 원자번호의 변화에 의하여 모든 물질의 원소가 바뀌는 것 보다 더욱 신비한 일이다. 어째서 인간은 특정주파수의 전자기파를 누구나 똑같은 색깔로 인식한단 말인가? 인간들이, 지구상의 생명체들이 전자기파의 주파수의 변화를 특정색깔들로 바꾸어 인식하는 장치를 만들어 나누어가졌단 말인가? 빛깔이 무엇인가? 색맹인 사람에게는 빨간색이 무엇이라고 설명해 줄 방법이 없다. 빛을 모르는 자에게 무지갯빛 아름다운 색깔의 변화가 주는 황홀함과 저녁노을이 주는 감동을 전해 줄 방법이 없다. “빨강색이 뭔데? 파랑색이 어떤 건데?”
빛의 놀라운 능력을 보라. 그 놀라운 영롱한 빛깔을 보라. 영원하신 신성과 영광을 보라. 그 찬란하고 아름다운 빛이 우연히 생겨났다고 말하지 말라. 원시생명체가 빛이 있었다는 것을 알았더라고 말하지 말라. 원시생명체가 그 빛을 보기 위하여 눈을 만들었다고 말하지 말라. 삼엽충 같은 원시생명체가 전자기파의 존재를 감지하고 파장의 범위로 색깔을 구분하는 방법을 고안해내고 진화를 통하여 후대에 전했다고 말하지 말라. 그것들이 눈을 만들기 위하여 머리에다 두 개의 구멍을 내고 눈탱이가 밤탱이 같은 눈알을 박아 넣고 그걸 진화시키느라 수백만 년, 수천만 년, 수억 년 고생했다는 터무니없는 이야길랑 하지를 말라. 그들이 빛의 주파수별로 특정색깔을 느끼도록 분류시스템을 고안해 내고 같은 파장에서 같은 색깔로 느끼기로 합의했다고 말하지 말라. 파장 700 나노미터는 빨강색으로 느끼고, 600 나노미터는 노랑색으로 느끼고, 500 나노미터는 파란 색으로 느끼며 그 파장의 미묘한 차이를 찬란하고 변화무쌍한 빛깔로 인식하는 방법을 단세포 원생동물이, 벌레들이나, 원숭이나, 호모사피엔스, 북경원인, 끄로마뇽인, 네안델타르인 같은 유원인들이 합의하여 개발해 내었다고 말하지 말라, 400~700 나노미터의 파장에 그 현란한 변화와 아름다운 색감을 부여하고 그 빛깔로 그 분의 광활한 피조세계를 눈부시게 채색하신 놀라우신 창조주 앞에서, 그 지으신 피조물들에게 빛을 볼 수 있는 눈을 주신 사랑의 하나님, 엄위하시고 거룩하신 영광 앞에서.
다시 한 번 빛이 도대체 무엇인가 생각해 보라. 입자도 아니고 파동도 아닌 이 기이한 자연현상을 창조해내신 하나님을 다시금 생각해 보라. 아, 빛, 이 하나만 생각해도 하나님의 놀라우신 창조의 능력에 가슴이 벅차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