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남성들의 귀환? (4) 젊은 여성들의 대조적인 경향 > 아멘 매거진

본문 바로가기


아멘 매거진

젊은 남성들의 귀환? (4) 젊은 여성들의 대조적인 경향

페이지 정보

기사 작성일2025-04-30

본문

[기사 요약] 젊은 여성들은 가부장적 교회 구조와 성차별, 보수적 입장에 반감을 가지며 종교를 떠나는 경향이 강하다. 이는 전통에 매력을 느끼는 젊은 남성과 대조되며 성별에 따른 종교 반응의 차이를 보여준다.

 

-------------------------------------------------------

젊은 남성들의 귀환? 시리즈

(1) 2025년 미국 및 영국 교회 동향 분석

(2) 원인 분석 1 - 소속감과 문화적 변화
(3) 원인 분석 2 - 전통과 권위, 온라인

-------------------------------------------------------

 

f57c1775748f3274e80f881e91cf2b1d_1746010783_29.jpg
 

E. 갈라지는 길: 젊은 여성들의 대조적인 경향

 

젊은 남성들의 종교 참여 증가 또는 안정화 추세는 같은 세대 여성들의 경향과는 뚜렷한 대조를 보인다. 데이터에 따르면 젊은 여성(Z세대)들은 젊은 남성들보다 더 빠른 속도로 종교를 떠나고 있다.

 

미국 PRRI 연구에 따르면, 18-29세 여성 중 종교 무소속 비율은 2013년 29%에서 2024년 40%로 11%p 증가한 반면, 같은 연령대 남성의 무소속 비율은 35-36%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종교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나 종교 활동 참여율 역시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 더 큰 폭으로 감소했다. 이러한 경향은 미국뿐 아니라 다른 서구 사회에서도 관찰되며, 역사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더 종교적이었던 패턴이 젊은 세대에서 역전되거나 사라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젊은 여성들이 교회를 떠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많은 교회가 여전히 유지하고 있는 가부장적 구조와 성차별적 문화에 대한 반감이다. 여성의 리더십 기회를 제한하거나 전통적인 성 역할을 강요하는 교회 문화는 현대 여성들의 가치관과 충돌하며, 이들을 교회 밖으로 밀어내는 요인이 된다. 역사적으로 여성들은 가부장적 구조 속에서도 높은 종교 참여율을 보여왔지만, 현대 페미니즘 의식의 확산은 이러한 역학 관계를 변화시키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낙태권이나 성소수자(LGBTQ+) 권리와 같은 사회적, 정치적 쟁점에 대한 교회의 보수적인 입장은 많은 젊은 여성들의 가치관과 상충한다. 이들은 이러한 교회의 입장이 여성의 자율성과 권리를 침해한다고 느끼며, 교회를 자신들에게 안전하지 않거나 적대적인 공간으로 인식하게 될 수 있다.

 

결국, 젊은 남성과 여성의 종교에 대한 상반된 경로는 현대 사회의 변화와 압력에 대한 젠더화된 반응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일부 젊은 남성들은 전통적인 구조와 명확한 역할, 권위를 제공하는 종교에서 안정감을 찾는 반면, 많은 젊은 여성들은 페미니즘적 가치에 기반하여 가부장적 제약으로 인식되는 것을 거부하고 진보적인 가치와 자율성을 추구하며 교회를 떠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이다.

 

동일한 사회문화적 변화(젠더, 권위, 전통에 대한 논의)가 성별에 따라 상반된 종교적 반응을 유발하고 있으며, 일부 남성들에게 매력적인 요소가 많은 여성들에게는 반감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표 1: 젊은 성인(Z세대/밀레니얼)의 종교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요인

젊은 남성에게 교회로의 유인 요인

젊은 남성에게 교회로부터의 이탈 요인

젊은 여성에게 교회로의 유인 요인

젊은 여성에게 교회로부터의 이탈 요인

공동체/소속감

외로움 해소, 유대감 형성

(덜 명확함)

정서적 지지, 관계 형성

(덜 명확함)

의미/목적 탐색

삶의 방향성, 혼란 속 안정 추구

(덜 명확함)

희망, 위안, 더 큰 존재에 대한 갈망

(덜 명확함)

전통적 성 역할/남성성

명확한 역할 부여, 남성성 긍정

(덜 명확함)

(일반적으로 유인 요인 아님)

가부장제, 성차별에 대한 반감

교회 구조/권위

질서, 명확한 규범, 전통 선호

경직성, 권위주의에 대한 반감 가능성

(덜 명확함)

권위주의적 구조, 리더십 기회 부족

사회/정치적 입장 (낙태, LGBTQ+ 등)

보수적 가치관과의 일치 가능성

진보적 가치관과의 충돌 가능성

(일반적으로 유인 요인 아님)

진보적 가치관과의 충돌, 자율성 침해 우려

온라인 영향력

전통 가치/남성성 관련 콘텐츠 노출, 호기심 자극

부정적 정보 노출

(덜 명확함)

교회 비판/대안적 가치관 노출

인지된 문화적 적대감

세속 문화에 대한 반작용

종교에 대한 사회적 편견

(덜 명확함)

종교에 대한 사회적 편견

 

​AI 생성사진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아멘 매거진 목록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