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대통령“나는 회교도”선언 > 한국 세계 뉴스

본문 바로가기


한국 세계 뉴스

오바마 대통령“나는 회교도”선언

페이지 정보

세계ㆍ2010-06-24 00:00

본문

게이트 이집트 외무장관과 단독대담서

무슬림 어젠다에 공감”도

 

“나는 무슬림입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최근 아흐메드 아불 게이트 이집트 외무장관 앞에서 그렇게 말했다. 이로써 오바마 대통령은 필요에 따른 이중 종교인의 제스처를 만인에게 입증한 셈이 됐다. 또는 본래 무슬림이었지만 당분간 크리스천으로 있다가 정치적 목적으로 다시 회교로 재개종하고 무슬림으로서 재천명한 것인지는 확실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게이트 장관은 양쪽의 일대일 단독대담에서, 오바마가 자신은 아직 무슬림이고 무슬림 아버지의 아들인 동시에 무슬림 계부의 무슬림 의붓자식이기도 하며 케냐의 의붓형제들도 무슬림이며, 무슬림 어젠다에 공감을 표한다고 말했다고 자랑스럽게 전했다.

 

게이트는 본국 나일 텔레비전 방송‘라운드테이블쇼’에서도 이같은 사실을 밝혔다. 오바마는 아울러 헬스캐어 등 미국 내 문제 해결 후엔 자신이 이스라엘을 어떻게 다룰지를 회교권에게 보여주겠다며 그때까지 참아 달라고 약속했다고 게이트는 덧붙였다.

 

이런 점은 오바마 대통령이 정부 문서에 왜 이젠 더‘회교극단주의’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는지 설명해 준다고 한 비평가는 풀이했다. 오바마와 미 정부의 이런 태도는 이스라엘에 큰 불안과 위협이 되고 있다. ‘이스라엘 투데이’의 아비엘 슈나이더 논설위원은 최근‘오바마, 전략적 불행(catastrophe)’이라는 논평을 쓰기도 했다.

 

이스라엘 대중의 생각은 이스라엘을‘담보’로 오바마가 회교권에 근접하려 한다는 것. 이스

라엘 언론‘예디옷‘은“오바마는 이스라엘의 실제적인 불행”이라며“그는 이스라엘 최대의 전략적 재앙”이라고 말했다.

 

사실 게이트는 5월중 이스라엘을‘적’이라고 불렀다.

 

ⓒ 크리스찬투데이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한국 세계 뉴스 목록

Total 1,677건 71 페이지
한국 세계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한국교회 신뢰도 '여전히 낙제점' 2014-02-04
교회분쟁 가장 큰 원인은 역시 '담임목사 재정 유용' 2014-01-05
화려하고 큰 교회당, 목회 성공과 연결될까? 2013-12-13
‘좋은 교회’의 공통점…높은 신뢰도와 투명한 재정집행 2013-12-13
종교개혁 과제..투명한 재정관리가 교회 존폐 나눈다. 2013-10-27
전문직 성범죄, 성직자가 1위…충격 2013-10-25
장신대 종교개혁제…"신학생들이 본 한국교회 개혁의 길" 2013-10-23
한국교회 개혁과제-교회 세습 근절하려면? 2013-10-23
한국교회 개혁과제- 빚으로 쌓은 교회들 2013-10-23
투명한 재정관리 돕는 '회계기준안' 마련돼 2013-10-18
어게인 ‘1517 종교개혁’…“목회자부터 달라져야 한다… 2013-10-14
“교회세습, 성경 거역하는 무서운 악행” 2013-08-30
"'교회세습' 근거 있어도 선교에 방해되면 버려야" 2013-08-30
"교회세습, 북한 정권의 3대 세습보다 더 나빠" 2013-08-30
합동 ‘목회자 윤리강령’ 총회 상정…재정, 성윤리 다뤄 2013-07-23
별세포럼 "내가 먼저 죽으면 공동체는 살아난다" 2013-07-10
교회의 무리한 건축..."건축이 전도하는 시대는 지나갔… 2013-07-10
여러분 교회의 재정은 투명합니까? 2013-07-08
“신앙본질 망각한 한국교회, ‘목회자 개혁’이 관건” 2013-05-22
"교회 재정 공돈처럼 쓰는 관행 없애야" 2013-05-11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