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창백한 푸른 점 > 나눔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현재 이 게시판은 스팸때문에 본 글을 쓰기 위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처음으로 자유게시판에 본문이나 댓글을 올리시는 분은 반드시 글등록 버튼을 누르기 전에 아래 게시물 관리방침을 확인하여 주세요. 댓글을 올리기 위해서는 스팸방지 숫자를 입력해야 합니다. 이를 피하기 위해 자유게시판 논객님들은 회원등록을 통해 자유로운 수정과 글쓰기를 이용하세요. 사이트 맨 위 오른쪽에 회원등록 링크가 있으며, 바른 이메일만 요구하며 익명을 유지하실 수 있습니다.

 


나눔게시판

2-1 창백한 푸른 점

페이지 정보

대장쟁이2025-05-01

본문

2-1. 창백한 푸른 점

1970년대, 천문학자들은 1970년대 중반에서 1980년대 사이에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이 비스듬하게 직선상에 놓인다는 사실을 알았다. 이것은 175년에나 한 번 생기는 드문 현상인데 이 절호의 기회에 외행성들을 한꺼번에 탐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계획된 것이 보이저 1호와 보이저 2호 탐사선이다.

1977년, 보이저 1호와 2호는 거의 같은 시기에 발사되었는데 보이저 2호가 약간 먼저 1977년 8월 22일에, 보이저 1호는 로켓부품고장으로 인해 약간 늦어 1977년 9월 5일에 발사되었다. 발사가 좀 늦었지만 목성에 도달한 시기는 직항로를 택한 보이저 1호가 79년 3월 5일, 보이저 2호는 79년 7월 9일이었다. 다시 토성에는 보이저 1호가 80년 11월 12일, 보이저 2호는 훨씬 늦은 81년 8월 25일에 도착하였다. 그리고 보이저 1호는 계속하여 빠른 속도로 태양계 바깥을 향하여 항진하였고, 보다 속도를 늦춘 보이저 2호는 토성을 거친 다음 86년 1월 24일에는 천왕성, 89년 8월 25일에는 해왕성까지 답사하게 된다.

보이저 탐사선들이 지구를 떠난 지 13년째 된 1990년 2월초, 속도가 더 빠른 보이저 1호는 초속 18km의 속도로 지구로부터 64억 km 떨어진 명왕성 궤도를 지나 태양계를 벗어나는 순항을 계속하게 된다. 이제 배터리도 거의 다 닳고 관성으로만 진행하고 있을 보이저 1호에 칼 세이건(Carl Edward Sagan) 박사는 동료과학자들의 회의적인 시선에도 불구하고 광속으로 6 시간이나 걸리는 먼 거리의 이 탐사선에 전파신호를 보내 카메라를 지구 쪽으로 돌려 사진을 찍어 전송하라고 지시한다. 아무도 기대하지 않았으나 몇 달 후 기적 같은 일이 발생한다. 실현가능성이 없을 것 같은 이 명령에 따라 보이저 1호가 카메라를 지구 쪽으로 돌려, 1990년 3월부터 5월까지, 태양계의 가족들, 아득히 먼 곳에서 희미하게 빛나는 금성과 지구, 목성과 토성, 그리고 천왕성과 해왕성 등 수십 장의 사진을 찍어 전송해 온 것이다.

보이저 1호가 전송해온 사진들 속에 지구는 우주공간 광선의 줄 속에 조그만 점으로 외롭게 빛나고 있었고, 칼 세이건 박사는 이를 “창백한 푸른 점(Pale Blue Dot)”이라고 말했다. 태양계 탐사임무를 마치고 태양계를 벗어나면서 이제 영원히 광대무변한 우주공간을 달리게 될 보이저 1호의 충실한 명령수행은 많은 과학자들의 가슴을 찡하게 만들었다.

칼 세이건 박사는 “창백한 푸른 점(Pale Blue Dot)”에서 이렇게 적었다.
“우주공간에 외로이 떠있는 한 점을 보라. 우리는 여기 있다. 여기가 우리의 고향이다. 사랑하는 남녀, 어머니와 아버지, 성자와 죄인 등 모든 인류가 여기에, 이 햇빛 속에 떠도는 티끌과 같은 작은 천체에 살았던 것이다. 바로 이 한 점, 지구 위에 아름다운 시와 음악과 사랑이 있는가 하면 전쟁과 기근, 증오와 잔인한 행위가 그치지 않고 있다. 사람들은 이곳에서 영원히 살 것 같은 착각 속에 환경을 파괴하고 하늘을 찌를 듯 한 콘크리트 건물로 아성을 쌓고 우중충한 시멘트벽에 갇혀 불안한 삶을 살아간다.”

보이저 1호가 보내온 지구의 사진 ‘창백한 푸른 점’....... 우주의 티끌 같은 그 지구 위의 인간의 존재가 무엇이란 말인가? 겨우 수 천 년 인류역사에 인간들이 쌓아올린 문명과 예술, 울고 웃고 싸우고 사랑하는 그 욕망과 애증 따위가 다 무엇이란 말인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나눔게시판 목록

게시물 검색


아멘넷 시각게시물 관리광고안내
후원안내
ⓒ 아멘넷(USAamen.net)
카톡 아이디 : usaamen
(917) 684-0562 / USAamen@gmail.com
상단으로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