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 청소년, 한국보다 신앙 성숙도·정신건강 월등 > 뉴스

본문 바로가기


페이스 상패 해피바잉 이희상 로제 제이미


뉴스

한인 청소년, 한국보다 신앙 성숙도·정신건강 월등

페이지 정보

탑2ㆍ2025-06-10 06:41

본문

[기사요약] 뉴욕지역 한인교회 청소년은 한국 청소년보다 정신적으로 더 건강하고 신앙 성숙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인 청소년은 '수련회'와 '목회자'를, 한국 청소년은 '예배'와 '어머니'를 신앙의 주요 영향 요인으로 꼽아 차이를 보였다. 

 

667c921e32cc14cc71752ba6b7fc993a_1749552036_71.jpg
 

목회데이터연구소 [넘버즈] 290호 “한국 vs 미주 한인교회 청소년 신앙 의식 비교”를 통해 뉴욕교협이 의뢰하고 목회데이터연구소에서 진행한 '미주 한인교회(뉴욕지역) 청소년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2024년 9월부터 2025년 1월까지 미국 동부 지역 한인교회에 출석하는 만 11세에서 18세 사이의 청소년 165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조사는, 한국교회 청소년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주목할 만한 차이점들을 보여주었다.

 

신앙 성장에 가장 큰 도움이 된 요인을 묻는 질문에, 미주 한인교회 청소년들은 '집회/수련회'(58%)를 첫 번째로 꼽았다. 이는 공동체적 경험을 통해 신앙이 깊어지는 경향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반면 한국교회 청소년들은 '교회 예배/설교'(60%)를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선택해, 두 그룹 간의 신앙 환경 차이를 드러냈다.

 

신앙생활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사람에 대한 응답도 흥미롭다. 미주 한인교회 청소년들은 '교회 목사님/전도사님'(53%)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고 답했다. 그러나 한국 청소년들은 '어머니'(50%)를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꼽았으며, '교회 목사님/전도사님'은 그 뒤를 이었다. 한인교회 청소년들에게는 목회자가 부모님보다 더 큰 신앙적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신앙의 성숙도와 적극성, 미주 한인 청소년이 앞서

 

신앙의 성숙도를 4단계로 나누어 평가했을 때, 미주 한인교회 청소년들의 신앙이 더 깊은 경향을 보였다.  신앙 수준이 가장 낮은 1단계(하나님을 믿지만 그리스도를 잘 모르는 단계)에 해당하는 비율이 한인 청소년은 18%에 불과했지만, 한국 청소년은 52%에 달했다.

 

667c921e32cc14cc71752ba6b7fc993a_1749552177_18.png
 

신앙의 적극성을 엿볼 수 있는 전도 활동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지난 1년간 전도를 시도한 경험이 있다고 답한 한인교회 청소년은 62%로, 평균 4명에게 복음을 전하려 시도했다. 반면 한국 청소년의 전도 경험률은 43%였고, 평균 전도 시도 인원도 3명으로 한인 청소년보다 낮았다.

 

이러한 신앙적 배경에는 가정환경의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인교회 청소년의 81%는 '태어날 때부터' 교회를 다닌 모태신앙인이었으며, 이는 한국 청소년의 58%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특히 부모가 모두 기독교인인 경우, 모태신앙 비율은 91%까지 상승했다.

 

예배와 교회 생활, 공동체성에 비중 둬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예배 형태를 묻자, 한인교회 청소년의 94%는 '현장예배'를 선택했다.  이는 한국 청소년의 현장예배 선호도(80%)보다 높은 것으로, 온라인 예배에 대한 선호도는 상대적으로 매우 낮았다. 한국 청소년의 경우 15%가 '온라인 예배'가 자신에게 맞는다고 답해, 비대면 예배에 대한 수용도가 더 높았다.

 

청소년부 예배에 만족하는 이유로는 한인 청소년의 41%가 '교회 친구들과의 교제'를 꼽아 공동체적 관계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찬양'(31%), '말씀'(18%)이 이었다. 반면 한국 청소년들은 '찬양'(28%), '교제'(25%), '말씀'(24%)을 비슷한 비율로 선택해, 예배의 여러 요소에서 고르게 만족감을 얻고 있었다.

 

하지만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은 두 그룹 모두에게서 발견됐다. 현재 출석하는 교회에 '계속 다닐 것 같다'고 응답한 비율은 한인 청소년 62%, 한국 청소년 66%로 나타났다. 이는 약 3명 중 1명은 교회를 옮기거나 신앙을 포기할 가능성, 혹은 미래를 확신하지 못하는 상태에 있음을 시사한다.

 

더 건강한 정신과 뚜렷한 정체성

 

이번 조사에서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 중 하나는 정신건강 분야였다. 일상에서 느끼는 부정적인 감정에 대해 물었을 때, 모든 항목에서 한국 청소년의 응답률이 한인 청소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667c921e32cc14cc71752ba6b7fc993a_1749552296_32.png
 

'거의 매일 피곤하거나 에너지가 생기지 않는다'(한인 33%, 한국 45%), '학업에 대한 흥미가 줄었다'(한인 29%, 한국 46%), '자살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해 본 적이 있다'(한인 4%, 한국 27%) 등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이는 전반적으로 미주 한인 청소년들이 더 건강한 정신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질문에 한인 청소년들은 64%가 자신을 '한국인이자 미국인'이라고 인식했으며, '한국인 혈통이 자랑스럽다'는 응답은 87%에 달해 긍정적인 자아상을 가지고 있었다.

 

물론 도전적인 과제도 드러났다. 지금까지 살면서 경험해 본 것을 묻는 항목에서 한인교회 청소년 5명 중 1명(22%)은 '포르노를 시청'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으며, '음주' 경험도 18%로 나타나 다음 세대를 위한 지속적인 관심과 교육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로제

뉴스 목록

Total 12,062건 35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온세대가 감격으로 같이한 한인동산장로교회 3.1절 기념행사 2025-02-24
20주년 뉴욕 빌리 그레이엄 전도대회 “당신은 하나님을 만날 준비가 되었… 2025-02-23
미국장로교(PCA) '불법 이민자는 돕지마라' vs '사랑의 실천' 2025-02-22
만복의 근원 하나님 온 백성 찬송 드리고 저 천사여 찬송하세 찬송 성부 … 2025-02-22
세기총 미동북부 평화통일 뉴욕기도회 “복음통일과 영적전쟁” 2025-02-21
“설교부터 행정까지” 인공지능(AI)이 목회자의 짐을 덜어준다 댓글(1) 2025-02-21
류응렬 목사 “설교자, 하나님의 심장 소리를 들으라!” 2025-02-21
기도의 탑을 쌓다! 뉴욕장로연합회 제100차 월례 조찬기도회 열어 2025-02-20
미국내 LGBTQ+ 인구 증가, Z세대의 23%가 자신을 LGBTQ+로 … 2025-02-20
글로벌 뉴욕한인여성목회자연합회, 어머니기도회 성황리에 개최 2025-02-20
김학유 총장 “무너진 한국교회를 재건하는 3가지 방법” 2025-02-20
CRC교단 소속 목사 33명이 RCA교단으로 이적을 한 이유 2025-02-20
최초의 서양 의사, 드류 선교사 부부의 유해가 한국으로 간다 2025-02-20
한국교회가 후퇴하는 가운데서도 건강하게 성장하는 교회들의 특징 2025-02-19
2025 챌린지 청소년 연합수련회 지금 신청하세요 2025-02-19
박윤선 박사의 호통 “너희 꼬라지를 보고 예수 믿을 사람 있겠느냐!” 2025-02-19
김학유 총장 (1) 목회자들의 강단 정치발언, 성도들 교회를 떠나는 주요… 2025-02-19
이민자보호교회, 트럼프 행정부 이민단속에 대응위한 교회방문 설명회 댓글(1) 2025-02-18
미국 개신교 목회자 93%, 박해받는 기독교인 위해 행동 2025-02-18
이규현 목사 ② 묵상의 중요성 강조 “묵상 없는 설교는 기술자일 뿐” 2025-02-18
"마음에도 골든타임이 있다!" 정신건강 응급처치(MHFA) 워크숍 개최 2025-02-18
이규현 목사 Ⓘ 교회 위기탈출 시작, 목회자 스스로 영혼 성찰부터 2025-02-18
릭 워렌 목사, “예수 그리스도는 중도” 발언 논란 사과 2025-02-17
최호섭 목사 “다음세대 위기, 부모세대 신앙회복이 먼저다” 댓글(1) 2025-02-17
뉴저지 은혜의강 교회, 탈북민 다큐 '통일 오라' 상영회 및 간증 집회 … 2025-02-17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