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청소년들의 신앙생활 10가지 주요 경향 > 뉴스

본문 바로가기


뉴스

미국 청소년들의 신앙생활 10가지 주요 경향

페이지 정보

정보ㆍ2020-09-15 07:23

본문

퓨 리서치 센터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부모는 종교를 포함하여 여러 면에서 십대 자녀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친다. 절반가량의 청소년들이 부모와 같은 종교적 신념을 갖고 있다. 아래의 내용을 미국 기독교의 미래와 한인교회 청소년들과 연관하여 살펴보면 흥미롭다. 

 

0a903381f966fd76e5833555d123179f_1600168983_27.jpg
 

미국 청소년은 부모보다 덜 종교적이다. 뿐만 아니라 45%의 청소년은 많은 종교가 참일 수 있다는 다원주의적인 신앙을 가지고 있으며, 31%만이 하나의 종교만 참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미국의 청소년들은 자신이 원해서 교회에 가는 경우(35%) 보다 부모가 원하기 때문에 교회에 가는 경우(38%)가 더 많았다.

 

다음은 13~17세 사이의 미국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보고서의 10가지 주요 결과이다.

 

1. 미국 청소년은 대체적으로 부모와 종교적 정체성을 공유한다. 하지만 소속된 교파에 따라 어느 정도 차이가 있다. 부모가 복음주의 개신교단에 속한 청소년 10명 중 8명은 부모와 같은 교단에 속한다. 그러나 주류 개신교 교단(연합감리교회, 성공회, 미국장로교 등)에 속한 부모들을 가진 청소년은 부모와 같은 교단일 가능성이 55%로 낮아지며, 24%는 종교가 없다. 가톨릭 부모를 둔 청소년 81%는 가톨릭이며, 무종교 부모를 둔 청소년은 86%는 종교가 없다.

 

2. 약 절반(48%)의 청소년들이 부모와 "모두 같은" 종교적 신념을 갖고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부모와 "일부 같은" 신념을 공유하거나 "아주 다른" 신념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는 나머지 청소년들의 34%는 부모가 자신과 종교적으로 다르다는 사실을 모르기에 가정에서 갈등을 일으킨다(17%)고 했다. 

 

3. 미국 청소년은 부모보다 덜 종교적이다. 청소년들은 부모보다 매일 기도하고(27% 대 48%) 절대적으로 확실하게 하나님을 믿고(40% 대 63%) 종교를 삶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할 가능성이 낮다.(24% 대 43%). 그리고 전반적으로 청소년들은 부모보다 자신을 기독교인으로 말할 가능성이 조금 적고(63% 대 72%), 무종교라고 말할 가능성이 부모보다 다소 높다(32% 대 24%).

 

4. 대부분의 청소년은 부모 모두(40%) 또는 한 명(25%)과 함께 종교 예배에 참석한다. 또 다른 7%는 일반적으로 조부모, 다른 가족 또는 친구와 같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참석한다. 단지 1%만이 예배에 혼자 참석한다. 대략 4분의 1은 그들이 전혀 종교 예배에 참석하지 않거나 무응답이었다.

 

많은 십대들과 부모들은 예배참석과 다른 방식으로도 가족으로서 종교활동을 한다. 청소년 59%는 가족과 종교에 대해 "자주" 또는 "때때로" 이야기한다. 절반(48%)은 가족과 가끔 식사 전에 기도 또는 축복과 함께 은혜를 나눈다. 25%는 가족이 함께 종교 경전(성경)을 읽었다고 말한다.

 

5. 청소년들은 주로(38%) 부모가 그들에게 원하기 때문에 예배에 참석하며, 자신이 원해서 가는 경우는 35%로 더 적었다. 반면 26%는 예배에 참석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카톨릭과 주류 프로테스탄트와 달리 대부분의 복음주의 개신교 청소년(64%)은 주로 그들이 원하기 때문에 예배에 참석한다. 일반적으로 2/3의 청소년들은 부모가 원하기 때문에 종교 활동에 참가한다. 하지만 그렇게 종교활동에 참여한다고 해도 청소년들은 종교활동을 통해 "많은(27%)" 또는 "어느 정도(51%)" 즐거움을 얻는다.

 

6. 청소년 10명 중 6명은 교회 주일학교 같은 종교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했다고 답했다. 그들중 29%는 자주 또는 가끔 계속 참여한다고 말하고, 31%는 거의 참여하지 않거나 더 이상 참여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그리고 약 절반(51%)이 자신이 종교 청소년 그룹의 일원이라고 답했습니다.

 

7. 공화당을 지지하는 부모의 자녀가 민주당을 지지하는 부모의 자녀보다 종교적 활동에 더 많이 참여한다. 예를 들어, 공화당 부모가 있는 청소년은 매주 또는 더 자주 종교 예배에 참석하고, 자주 또는 가끔 종교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적어도 가끔은 종교 청소년 그룹에 간다고 말할 가능성이 높다. 그들은 또한 가족에게 종교에 대해 이야기하고, 은총을 말하고, 적어도 가끔은 가족과 함께 성경을 읽는 경향이 있다.

 

8. 복음주의 개신교 청소년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보면 다른 청소년보다 더 종교적이다. 복음주의 청소년은 다른 종교 단체의 청소년보다 영적 평화와 안녕에 대한 깊은 감각을 정기적으로 느낀다고 말할 가능성이 더 높다. 복음주의 십대들은 또한 윤리적 결정을 내릴 때 종교적 가르침과 신념을 다른 그룹보다 더 많이 찾는다. 복음주의 부모의 경우 다른 종교를 가진 부모보다 더 자녀가 종교에서 양육되고(71%) 같은 종교 배우자와 결혼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53%) 생각한다.

 

9. 청소년들은 여러 신앙에 진리가 있을 수 있고, 사람들이 하나님을 믿지 않고도 도덕적 일 수 있다는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다수(45%)의 청소년은 많은 종교가 참일 수 있다고 생각하고, 더 적은 31%가 하나의 종교만 참이라고 답했다. 하지만 종교에 진리가 거의 또는 전혀 없다고 말하는 청소년은 거의 없다. 대부분(61%)의 청소년은 도덕적이고 좋은 가치를 갖기 위해 하나님을 믿을 필요가 없다고 말했고, 반면 38%는 도덕적이 되려면 하나님을 믿어야한다고 말했다.

 

10. 많은 미국 청소년들은 적어도 한 달에 한두 번 종교적 또는 영적 경험을 한다. 절반은 적어도 한 달에 한 번은 깊은 영적 평화와 안녕을 느끼고, 46%는 삶의 의미와 목적에 대해 생각하고, 40%는 우주에 대한 깊은 경이로움을 느낀다고 답했다. 가장 흔한 경험은 설문조사에서 청소년의 77%가 대답한 강한 감사 또는 감사의 느낌이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뉴스 목록

Total 11,468건 194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뉴욕충신교회, 김혜택 2대 담임목사 은퇴 감사예배 2017-10-18
김혜택 목사 은퇴사 “미전도종족들 섬기다 소천 받는 것이 꿈” 2017-10-18
체리힐제일교회 김일영 담임목사 취임 예배 2017-10-18
뉴욕교계, 박옥수씨 계열 교회 집회위해 임대 준 KCS에 항의 2017-10-18
동부개혁장로회신학교 총동문회 제28회 정기총회 2017-10-17
롱아일랜드 참사랑교회 45주년 - 지역사회를 향해 열린 교회 2017-10-17
월드밀알선교합창단 30주년, 찬양대축제 후원 만찬과 찬양제 2017-10-17
윤세웅 목사 “노아의 방주 - 아산화질소 저온 동면설” 주장 2017-10-17
어린아이 마음으로 맞이한 뉴욕그레잇넥교회 창립 40주년 2017-10-16
양민석 목사 “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 자들은 예수님께로” 2017-10-16
뉴욕방주교회 제4회 이웃초청 작은 음악회 2017-10-16
박순애 전도사 “믿음이란 무엇인가?” 2017-10-14
뉴욕선의선교회/뉴욕선교사의집 15주년 기념집회 2017-10-14
미주한인기독교총연합회 제19회기 대표회장 이취임예배 2017-10-14
벨리포지대학 77년 역사 가운데 최초 김상래 한인총장 취임 2017-10-13
글로벌 뉴욕한인여성목 중보기도회 “진정한 개혁의 시작” 2017-10-13
박형규 전도사 “왜 교회대신 캠핑장과 커피샵을 찾는가?” 댓글(2) 2017-10-12
전요셉 목사는 왜 ‘텃밭’을 가꾸는 것이 ‘개혁’이라고 말했나? 2017-10-12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해외총회 뉴욕노회 제81회 정기노회 2017-10-12
세이연, 두날개양육시스템에 관한 연구보고서 2017-10-12
이광희 목사, 세종 체임버홀에서 2017 창작 발표회 2017-10-12
뉴저지한인여성목회자협의회 한소망양로원 방문 2017-10-12
뉴욕권사선교합창단 제16회 정기연주회 2017-10-10
임선순 교수 “루터의 이신칭의와 새로운 주장들 그리고 균형” 2017-10-09
양춘길 목사 “종교개혁의 교훈과 선교적 교회 ①” 2017-10-09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