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기독교 국가일까? 성경사용자 통계로 미국읽기 > 뉴스

본문 바로가기


페이스 상패 해피바잉 이희상 로제 제이미


뉴스

미국은 기독교 국가일까? 성경사용자 통계로 미국읽기

페이지 정보

이민ㆍ2021-05-20 18:39

본문

바나 리서치는 미국성서공회와 2021년 미국 성인의 성경사용에 대한 조사를 하고 최근 결과를 발표했다. 바나 리서치는 조사결과의 5가지 특징을 소개했다. 

 

미국은 청교도 정신으로 세워진 나라인데 반성경적으로 가는 요즘 영적 상황으로 보아 기독교 국가가 아니라는 입장들도 많은데, 그 중요한 기준이 되는 성경사용에 대한 조사결과는 많은 것을 시사하고 있다.

 

780dfa1fcb033e6e4f538dd38ec64f23_1621550511_73.jpg
 

첫째, 반 이상의 미국인들은 성경 없이는 국가가 나빠질 것이라고 믿는다.

 

2021년 조사결과에 의하면, 미국 성인의 절반 이상(54%)이 성경없이는 미국이 더 나빠질 것이라고 믿는다. 이는 작년보다 5% 증가했다. 33%는 성경과 상관없이 미국이 똑같을 것이라고 믿는데, 이 중간 비율은 작년보다 5%가 줄고 위의 친 성경적인 견해로 이동했다. 미국인 14%는 성경 없이도 국가가 더 나아질 것이라고 믿는데 지난해와 비슷하다. 지난해에 비해 전체적으로 친성경적인 시각이 증가했다.

 

둘째, 미국인의 성경사용자가 증가했다.

 

지난 10년 동안 성경 사용자 비율은 거의 비슷하게 유지되었다. 2021년에는 50%가 적어도 가끔씩 성경을 읽는다. 최고는 2014년 53%, 최저는 2019년 48%였다. 여기서 ‘성경 사용자’란 교회의 예배나 행사 외에 1년에 적어도 서너 번 성경을 읽고, 듣고, 기도하는 사람이다.

 

잘 알려진 대로 지난해 코로나 팬데믹으로 성경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미국인의 비율이 감소했다. 2019년 35%에서 2020년 여름 31%로 떨어졌다. 2021년은 29%로 2016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성경사용자가 완만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셋째, 미국인의 절반 이상이 성경에 오류가 없다고 말한다

 

미국 성인의 26%는 성경이 실제 하나님의 말씀이며 문자 그대로 받아 들여 져야한다고 생각한다. 29%는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으며, 성경에는 오류가 없지만 일부는 문자적으로나 상징적으로 해석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16%는 성경에 역사적 또는 사실적 오류가 있지만 여전히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답했다.

 

종합적으로 미국인의 71%가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생각하며, 55%가 성경에 오류가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기독교인이 아니라 일반 미국 성인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이기에 높은 비율이다.

 

상대적으로 미국인의 성경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가진 비율은 낮다. 13%는 성경이 이야기와 조언이 담긴 또 다른 책일 뿐이라고 생각하고, 9%는 성경이 하나님의 영감을 받은 것이 아니라 저자들의 견해가 있다고 생각하며, 10%는 성경이 사람들을 통제하거나 조작하기 위해 쓰여졌다고 믿는다.

 

넷째, 미국인의 절반 이상이 성경에 의미있는 삶을 살 수 있는 열쇠가 있다고 생각한다.

 

미국인의 54%는 성경의 메시지가 삶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즉 성경이 의미있는 삶을 살기 위해 필요한 모든 것을 담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에 매우 동의는 30%이며, 어느 정도 동의는 24%이다. 반면 어느 정도 반대는 12%, 매우 반대는 13%이다. 지난해에는 미국 성인의 68%가 성경을 중요한 지혜의 원천으로 생각했다.

 

다섯째, 미국인 6명 중 1명은 거의 매일 성경을 읽는다.

 

2021년에는 미국 성인 1억2천8백만이 정기적으로 성경에 접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 성인의 3분의 1 이상(34%)이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성경을 읽는 반면, 절반(50%)은 1년에 두 번 미만 성경을 읽는다. 이 두 극단 사이의 16%는 성경을 1년에 두 번 이상 읽지만 매주 읽지 않는다. 전체적으로 미국 성인 6명 중 1명(16%)는 주중 거의 매일 성경을 읽으며 이는 2020년의 12%에서 증가했다. 성경을 읽는 회수는 매일 11%, 주 4번 이상 5%, 주 2-3회 9%, 주 1번 9%이다.

 

이제 스스로 대답할 차례이다. 미국은 기독교 국가인가? 아닌가?

 

바나 리서치와 미국성서공회의 2021년 미국 성인의 성경사용에 대한 조사결과에는 또 다른 흥미로운 내용이 있다. 특히 예배에 성경책을 가지고 갈 것인가 말 것인가를 고민하는 사람에게 위안이 되는 통계이다.

 

미국 성인들은 성경책에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성경으로 급하게 변하고 있다. 5년 전인 2016년에는 81%가 성경책을 선호했다. 하지만 2019년 72%, 2020년 65%, 2021년 59%로 급격하게 떨어지고 있으며 곧 50%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성격책이냐 스마트폰 앱이냐 하는 것은 예상대로 세대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인쇄된 성경책은 대부분의 노인(84%), 베이비붐 세대(72%), X세대(56%)가 선호한다. 하지만 밀레니얼 세대(47%)와 Z세대(44%) 사이에서는 반이하로 떨어진다.

 

성경사용자의 21%가 성경을 읽으면 위로가 된다고 했으며, 평화(19%), 격려(17%), 희망(16%)을 느꼈다. 성경에 대한 지식은 12%가 높은 지식, 31%는 중간 지식, 31%는 작은 지식, 26%은 지식이 없다고 답했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로제

뉴스 목록

Total 11,813건 182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김성국 목사 “존경받으며 가장 신뢰도 높은 뉴욕교협이 되라!” 2018-11-14
하나님의성회 뉴욕신학대학(원) 설립 40주년 감사예배와 축하음악회 2018-11-14
갈보리채플(김주동 목사) 개척감사예배 - 삶이 예배되는 공동체 2018-11-13
양춘길 목사 “미셔날처치, 하나님께서 강권적으로 인도하셔” 2018-11-13
미주한인예수교장로회, 북한교회 재건을 위해 고민하다! 2018-11-13
제45회기 뉴욕교협 시무 및 이취임 예배 2018-11-12
열악한 브롱스에서 소명에 응답하며 - 뉴욕은혜교회 20주년 2018-11-12
"감격, 은혜, 눈물" 베이직교회 설립 1주년 및 장로 임직 예배 2018-11-12
뉴저지 이보교가 주최한 창작 뮤지컬 <드리머 죠셉> 공연 2018-11-11
뉴저지권사합창단 창립 11주년 맞아 제4회 연주회 열어 2018-11-11
노 성도들의 간증 “왜 노년 성도들이 성경암송을 해야 하는가?” 2018-11-10
주님의식탁선교회 2018 성경암송대회 2018-11-10
감리교 대표들 모여 한반도 평화를 위한 제3차 원탁회담 2018-11-10
제10회 니카라과 전도대회, 마사야에서 까라소로 지경 확대 2018-11-10
백세시대를 제대로 살다 간 고 정규석 목사, 97세까지 사역 2018-11-09
“차세대 사역의 모델” 뉴저지교협의 어게인 2010 선언 2018-11-09
동부개혁장로회신학교, 32회 장학기금을 위한 찬양의 밤 2018-11-07
섬김 내 세운 뉴저지교협, 여러 이슈들 어떻게 돌파하나? 2018-11-07
이스라엘 신학세미나 “양 극단을 피하고 터부시 말아야” 댓글(1) 2018-11-07
거창중앙교회 이병렬 목사의 “이 시대의 목회자는 누구나 들어야 할 이야기… 2018-11-06
새가나안교회 설립 35주년 기념음악회 / 최요셉 목사가 후임 2018-11-06
제9회 아가페열방찬양제, 4개 국어 연합찬양 울려 퍼져 2018-11-06
뉴욕교협 이사회 제32회 정기총회 - 이사장 손성대 장로 2018-11-05
ATS 한인동문회 정기총회 - 회장 김연수, 부회장 민병욱 목사 2018-11-05
심령이가난한교회, 2교회 연합과 장로 3명 임직으로 전환점 2018-11-05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