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교협 공천위원장 김명옥 목사 연임, 배경과 과제는? > 뉴스

본문 바로가기


뉴스

뉴욕교협 공천위원장 김명옥 목사 연임, 배경과 과제는?

페이지 정보

탑2ㆍ2025-07-10 12:02

본문

[기사요약] 뉴욕교협이 52회기 공천위원장에 김명옥 목사를 재임명했다. 과열, 부정 선거를 막고 교계를 정화하자는 취지로 시작된 공천제는 2년차를 맞았다. 차기 회장은 다수를 차지하는 소형교회 목회자가 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패거리 정치 막겠다" 교협, 2년차 공천제 향방?

뉴욕교협 회장, 내년엔 소형교회 목회자 차례?

 

2ee4055c2a808d4563cf28e39a31bc91_1752163295_27.jpg
 

51회기 뉴욕교협(회장 허연행 목사)가 지난해에 이어 다시 한번 김명옥 목사에게 공천위원장의 중책을 맡겼다. 지난 7월 8일 열린 교협 임원회에서는 만장일치로 김 목사를 52회기 공천위원장으로 재지명했다. 이로써 지난해 50회기 총회에서 회장 선출 방식을 직접선거에서 공천을 통한 간선제로 변경한 이후, 김 목사는 2년 연속으로 공천위원회를 이끌게 되었다.

 

이 제도는 교협 헌법에 "50회 정기총회부터 한정 5년간(2024-28년)은 공천위원회에서 회장 후보를 결정한다"고 명시된 개정안에 따른 것이다.

 

선거 과열 막고, 교계 정화 위해 시작된 공천제

 

공천위원회가 도입된 배경에는 깊은 고민이 있었다. 김명옥 목사는 공천제 도입 이유에 대해, 과거 선거 과정에서 나타났던 부작용을 지적했다. 일부 목회자들이 무리를 지어 세상 정치보다 못한 모습을 보였고, "몇만 불을 써야 당선된다"는 식의 부끄러운 소문이 공공연하게 돌았다는 것이다.

 

물론 공천제도가 단점 없이 완벽한 것은 아니다. 투표가 없어지면서 총회를 향한 회원들의 관심과 참여가 줄고, 교협의 전반적인 사업에 대한 회원 교회들의 동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기도 한다. 하지만 일부 정치적인 목회자들이 교협과 교계를 자신의 목회지처럼 여기며 정치를 일삼던 폐해가 워낙 심각했기에, 현재의 제도가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데에 많은 이들이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고 김명옥 목사는 설명한다.

 

김 목사는 "이런 아수라장 같은 부정선거판과 패거리 정치를 끊어내고, 덕망 있는 인물을 추대하여 교계를 정화해야 한다는 절박함에서 공천제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선거로 인한 과도한 비용 지출을 막고, 후보자 간의 불필요한 감정 소모를 줄여 잃어버렸던 교계의 신뢰를 회복하자는 것이 주된 취지였다.

 

52회기 회장, 대형교회 아닌 소형교회 목회자?

 

관심은 자연스럽게 차기 회장 선출 방향으로 쏠린다. 지난해 처음으로 구성된 공천위원회는 51회기 회장으로 허연행 목사(프라미스교회)를 공천했다. 김 목사는 첫 공천에 대해 "많은 기대와 바람이 있었다”라며 “대체로 성공했다"고 조심스러운 평가를 전했다. 51회기 회장이 뉴욕의 대표적인 대형교회 목회자였던 만큼, 52회기에도 비슷한 흐름이 이어질지 주목된다.

 

이에 대해 김명옥 목사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김 목사는 "뉴욕 교계의 85% 이상이 소형교회"라고 언급하며, "소형교회 목회자들의 아픔을 어루만지고 함께 나눌 수 있는 사람이 회장이 되어야 한다"는 소신을 내비쳤다. 그는 "열정 면에서는 작은 교회 목사님들이 더 두드러진다"며, 한 해는 대형교회, 다음 해는 소형교회 목회자가 번갈아 회장을 맡는다면 이상적인 접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과거 연속으로 소형교회 목회자들만 회장을 맡으며 목회보다 교계 정치에 집중하는 문제가 있었던 점을 인정하면서도, 대형교회와 소형교회가 번갈아 리더십을 세우는 방식을 통해 건강한 목회자상을 다시 정립해 보자는 것이 임원들의 바람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김명옥 목사는 공천위원장인 자신은 회장직에 나서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하며 공정한 직무 수행을 약속했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김원기님의 댓글

김원기 ()

본인이 공천하고 본인이 총무 하고 하는것은 독재 보다 더한 행태 입니다. 진정 뉴욕 교협이 정당성을 회복 하려면 민주적 절차에 의해 선출된 회장이 나와야 합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로제

뉴스 목록

Total 11,657건 18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조원태 목사의 삼일절 “히브리서 인물처럼 16인의 독립운동가들을 기리며” 2025-03-03
2015~2025: 미국 동성결혼 합법화 10년, 그동안 무슨 일이 있었… 2025-03-01
한인동산장로교회, 50주년 맞아 제3대 담임목사 청빙 2025-02-28
뉴저지 목사회 볼링축제 "스트라이크보다 값진 웃음과 화합” 2025-02-28
뉴욕교역자연합회, 크루즈 2026년 신년기도회 일정 발표 2025-02-27
[분석] 미국 기독교 안정세 ② 무종교 인구 증가세 둔화 2025-02-27
찬양교회, 다음세대와 지역사회를 위한 7만 달러 규모 장학사업 시작 댓글(1) 2025-02-27
미동부기아대책에 봄바람이 불었다~ 새로운 변화와 혁신 추구 2025-02-26
"미국 기독교 감소 멈췄나?" 미 종교지형, 안정세 접어들어 2025-02-26
동성결혼 합법화 10주년 맞아, 미국 9개 주에서 동성결혼 제한 법안 추… 2025-02-26
"우리는 다윗의 돌멩이를 가졌다” 서류미비 이민자 위한 촛불기도회 2025-02-25
존 파이퍼 목사 “설교작성시 인공지능 사용” 의견에 대한 AI의 응답은? 2025-02-25
뉴욕실버미션학교, 제39기 개강예배 “하나님의 소원을 소명으로 받아 순종… 2025-02-25
송흥용 목사 “한국교회의 극우주의 흐름과 신앙의 위기 그리고 교회 존립의… 2025-02-24
총신대학교신학대학원 미주동부동문회, 2025년 정기총회 개최 2025-02-24
갑작스러운 도움이 필요하다면 21희망재단의 문을 두드리세요 2025-02-24
KACE 대처방안, 이민국 요원을 거리에서 마주쳤을 때나 문 앞에 들이닥… 2025-02-24
51년 믿음의 여정 퀸즈장로교회 “일어나 빛을 발하라!” 2025-02-24
온세대가 감격으로 같이한 한인동산장로교회 3.1절 기념행사 2025-02-24
20주년 뉴욕 빌리 그레이엄 전도대회 “당신은 하나님을 만날 준비가 되었… 2025-02-23
미국장로교(PCA) '불법 이민자는 돕지마라' vs '사랑의 실천' 2025-02-22
만복의 근원 하나님 온 백성 찬송 드리고 저 천사여 찬송하세 찬송 성부 … 2025-02-22
세기총 미동북부 평화통일 뉴욕기도회 “복음통일과 영적전쟁” 2025-02-21
“설교부터 행정까지” 인공지능(AI)이 목회자의 짐을 덜어준다 댓글(1) 2025-02-21
류응렬 목사 “설교자, 하나님의 심장 소리를 들으라!” 2025-02-21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