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성 목사를 위한 골수기증자를 찾습니다 > 뉴스

본문 바로가기


뉴스

김종성 목사를 위한 골수기증자를 찾습니다

페이지 정보

교계ㆍ2016-05-25 00:00

본문

26a1.jpg
▲앉은 순서대로 왼쪽부터 김정호 목사(후러싱제일교회), 김은천 목사(퀸즈중앙감리교회), 고석천 목사(UMC은퇴, 호프파운데이션 이사), 이용보 목사(뉴욕한인교회, 코커스한인교회 회장), 조건삼 목사(뉴욕연회 코커스 회장)

미연합감리교(UMC) 한인목사들이 5월 25일(수) 오전 후러싱제일교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동료 목회자를 살리기위해 나섰다. 연합감리교(UMC) 총회 세계선교부에서 17년간 사역하다 건강문제로 2014년 은퇴했으나 다시 선교단체를 설립하고 선교에 헌신해온 김종성 목사가 ‘골수섬유증(Myelofibrosis)'이라는 희귀 혈액암 진단과 함께 2년 시한부 판정을 받고 골수 기증자를 찾고 있다. 혈액암 진행 속도가 빨라지면서 항암치료나 약으로는 치료할 수 없고 완치를 위해서는 골수이식 수술이 절실한 상황이다.

죽으면 죽으리라! 백혈병 증상에도 다시 선교지로

26a2.jpg김종성 목사는 연합감리교 세계선교부(GBGM) 아시아태평양 지역 총무로 지난 17년간 연합감리교의 아시아 선교를 총괄했다. 그는 한인교계는 물론 미국교계에서도 널리 알려져 있는 뛰어난 선교 전략가이다. 김 목사는 캄보디아, 베트남, 태국 등 동남아시아와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탄 등 중앙아시아 선교 프로그램을 이끌어왔다. 그가 총무로 일하면서 캄보디아에는 140개 교회, 베트남에서는 250개 교회가 세워져 활발한 사역을 펼치고 있다.

최일선 복음사역을 통해 주님의 복음사역은 흥하여졌으나 김종성 목사의 건강은 쇠하여야 졌다. 1년에 평균 25만 마일의 비행기를 타고 다니면서 선교지를 누볐고, 1년의 절반을 열악한 환경의 선교지에서 보낼 정도로 헌신했다. 그는 스스로 건강의 문제를 알았다. 하지만 복음전도사역을 멈추지 않았다. 2010년 백혈병 증상에도 불구하고 네팔에 갔다가 뉴욕으로 오는 비행기 안에서 혼절, 비행기가 시카고에 비상착륙하는 경우도 발생했다. 당시 치료를 담당했던 의사에 따르면 김 목사가 살아난 것은 기적이라고 했다.

김종성 목사는 8개월 간의 집중치료와 재활을 거쳐 어렵게 회복했지만 또다시 선교지로 달려갔다. 하지만 건강의 한계에 다다른 김 목사는 17년 동안 몸담았던 UMC 세계선교부 아시아지역 선교를 정리하고 2014년 은퇴했다. 그렇지만 선교를 그만 둘 수 없었기에 은퇴 후 선교단체 'Hope5L2F 재단'을 설립하고, 오랫동안 쌓아온 선교 노하우를 활용해 '선교지의 경제자립'을 목표로 현지인들이 스스로 일어설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뉴욕일원 한인교계 골수 등록 캠페인 전개

김종성 목사의 유일한 치료방법인 골수이식 수술을 받기 위해서는 환자와 골수가 일치하는 사람을 먼저 찾아야 한다. 후러싱제일교회(김정호 목사)가 먼저 6월 5일 주일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교인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골수 등록 캠페인을 시작한다. 이 캠페인은 새생명재단(회장 김세진 원장)이 함께하며, 교인은 물론 뉴욕지역에 사는 한인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이어 뉴욕한인연합감리교회연합회와 뉴저지한인연합감리교회연합회가 회원 한인교회를 대상으로 이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펼쳐 나갈 계획이다.

하지만 이식 수술에 필요한 골수 등록자가 크게 부족한 실정이어서 먼저 캠페인을 통해 등록자 수를 늘려야 수술을 받을 수 있는 확률도 높아진다. 특히 같은 아시안이거나 비슷한 주거 환경이라면 골수 일치 확률은 더욱 높아진다. 아시안골수기증협회(A3M)에 따르면 미국에서 골수 기증에 등록된 사람은 900만명 정도이며, 아시안은 60만명(7%)에 불과하다. 골수이식 수술이 필요한 사람 10명 가운데 4명 정도가 수술을 받을 수 있고, 아시안은 1~2명 정도에 불과하다.

골수기증 등록은 18~44세의 건강한 사람이면 간단한 방법으로 골수를 등록할 수 있다. 면봉을 이용해 입속에서 약간의 조직 샘플을 채취하여, 전세계 골수 기증 등록자 명단을 통해 일치하는 사람을 찾는다. 일치 가능성이 있으면 추가 조직검사를 하며 기증자의 동의를 거쳐 수술할 수 있다. 현재 한국과 미국의 골수은행에 2-3명의 일치자가 있는데 연락이 안되고 있다는 안타까운 소식도 전해졌다.

문의:
새생명재단 김세진 내과의사(718-640-5443)
Hope5L2재단 고석천 목사(201-602-5505).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뉴스 목록

Total 4,632건 154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2020 할렐루야대회, 영적인 엠파이어 빌딩을 건축하자 2020-07-31
CNN 보도, 예배에 참여한 한 교인으로부터 91명이 연속 감염 2020-08-05
뉴저지교협, 500불 상당 현장예배 예방품 선착순 70교회에 제공 2020-08-08
트럼프 행정명령, 추가 실업수당 600불에서 400불로 삭감 2020-08-08
쿠오모 뉴욕주지사 “트럼프 행정명령은 불가능하고 웃기는 일” 2020-08-09
느슨해지면 안된다! 팬데믹 관련 2개 뉴욕 한인교회 문 닫아 2020-08-10
이용걸 목사, 팬데믹에 지친 목회자들을 위로하는 모임 가져 2020-08-11
C&MA 월례모임, 팬데믹속 목사들의 간절한 기도 이어져 2020-08-12
C&MA 동부지역회, 박영준·배현석·이현택 등 3명 목사안수 2020-08-12
GRS 선교학 박사 과정 가을학기 개강 및 학위수여식 2020-08-13
뉴욕목사회, 임시총회 통해 11년 만에 회칙을 다듬는다 2020-08-13
폭우속에 열렸지만 희망을 본 할렐루야대회 1차 준비기도회 2020-08-13
김창길 목사 광복절 75주년 축시 “달리다굼! 툭툭 털고 일어나라” 2020-08-14
뉴저지교협, 투병 중인 김흥교 목사에 2천불 격려금 전달 2020-08-15
GUM, 팬데믹속에서 온라인으로 화상 선교학교 연다 2020-08-18
백인 복음주의자들의 트럼프에 대한 지지 흔들리나? 댓글(1) 2020-08-19
KCMUSA, 총상금 2만 달러 온라인 찬양경연대회 개최 2020-08-20
미주교계 “한국은 우리의 거울”이라며 팬데믹 재확산 경계 2020-08-24
뉴욕목사회 임시총회 상정 회칙 “임원 및 증경회장 역할 축소” 2020-08-25
실버들이 모범, 뉴저지 34기 실버미션스쿨 화상으로 개강 2020-08-25
UMC 현역 한인목회자 839명 “인종과 문화의 경계를 넘어” 2020-08-25
영생장학회 제4회 장학금 수여식 및 감사예배 2020-08-26
뉴저지교협은 선거 무풍지대, 2년째 부회장 등록자 없어 2020-08-26
사역보고가 아니라 간증, 미동부국제기아대책기구 정기예배 2020-08-26
원로 김정국 목사의 외침 <광야의 메아리> 출판 2020-08-27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안내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