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동신 회장 “코로나19 복판에서 생각합니다” > 뉴스

본문 바로가기


뉴스

장동신 회장 “코로나19 복판에서 생각합니다”

페이지 정보

교계ㆍ2020-04-22 06:13

본문

지난 4월 6일 앤드류 쿠오모 뉴욕 주지사가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NY Pause' 행정명령을 5월 15일까지 연장을 했습니다. 뉴욕 접경지인 뉴저지도 이에 당연히 같은 환경입니다. 지난 3월 22일 시작해 4월 15일까지 시행한다고 했다가 29일까지 연장했었습니다. 그러나 다시 연장이 된 것입니다. 참으로 힘든 상황입니다. 

 

81dce8d58e44ab90f6d5bb1df8efe04a_1587550398_4.jpg
 

거의 모든 영역이 멈추어 섰습니다. 주정부와 연방정부는 공적자금을 투입하므로 경제적 어려움을 해결해 보려 애씁니다. 이런 와중에 1억 달러 이상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는 햄버거 체인점인 셰이크셱이 1,000만 달러가량의 PPP 대출을 했다가 여론의 비난을 받고 1,000만 달러 전액을 반환할 것이라고 했다는 뉴스(중앙일보 뉴욕, 4월 21일, 종합3면)를 접합니다. 주위에서는 그 햄버거 “다시는 사먹지 말자”는 이야기도 합니다.

 

이런 때에 뉴저지 교회들의 소식을 듣습니다. 200여 교협에 속한 교회들은 물론 거의 모든 교회들이 온라인 예배 또는 가정예배를 드리고 있습니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해야 하고 사람과 사람의 직접만남은 피해야 하는 모습은 일상이 되어가는 듯합니다. 언제 끝날지 모를 답답함, 끝난다고 하더라도 다시 예전처럼 돌아갈 수 없을 것이라는 불안감, 현재 확진자로 사는 분들의 고통은 물론 전염염려 등 말할 수 없는 어려움이 우리의 현재입니다. 

 

우리가 뭘 할 수 있을까요? 여러 가지 제안과 소원을 말할 수 있을 것이나 저는 두 가지 제안을 해 봅니다.

 

하나는 기도입니다. 

 

뉴저지교협은 이미 뉴욕교협과 함께 ‘코로나19 퇴치와 극복을 위한 구원(91) 연합기도’를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5월 7일은 미국의 ‘국가기도의 날’입니다. 이날 선교단체인 자마와 함께 한인교회협의회가 있는 미국의 전 지역에서 동시에 영상으로 기도회를 가질 계획을 추진 중입니다. 기대하기는 30개 주의 한인교회협의회가 참여할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그리스도인이면 당연히 믿는바 유일한 희망은 기도입니다. 성경에는 인간의 위기와 당한 일의 한계상황에서 기도를 통해 하나님의 구원하심을 받은 선견들의 교훈이 수없이 있습니다. 코로나19가 우리를 위협하는 이 때 기도하십시다. 기도는 우리의 희망입니다. 주님께서 가르쳐주신 문제해결의 열쇄입니다.

 

다른 하나는 서로 위로와 격려에 힘썼으면 합니다.

 

‘서로 돌아보아 사랑과 선행을 격려’(히10:24) 하는 일은 그리스도인이 말세에 해야 할 덕목(히10:25)입니다. 사도바울의 전도 여행이야기에서 마게도냐 사람들이 “건너와서 우리를 도우라.”(행16:9)는 환상을 따라 갈 때 하나님의 인정하심(행16:10)을 믿었습니다. 그 도움요청과 도움의 길이 복음을 세계화 하는 계기가 되었음은 우리 모두가 주지하는 바입니다. 

 

아멘넷에서 ‘심각한 재정타격 입은 한인교회들이 나아갈 방향성은?(2020. 4. 8)’ 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소개된 미국교회들의 재정 상황은 비관적인 현실입니다. 라이프웨이 리서치(LifeWay Research), 바나 그룹(Barna Group), 시에나 칼리지(Siena College)의 설문조사 통계를 통해 코로나19로 헌금이 감소되는 수치를 감각에 와 닿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에서 아멘넷은 “미국교회 보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으며, 문을 닫은 비 필수 사업체에서 일하는 성도들이 많은 한인교회들은 더 큰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고 진단을 합니다. 공감되는 기사입니다.

 

어느 목사님께서 제게 “목사님, 우리 교회 성도님 중 연약한 교회들이 힘들 텐데 돕는 일에 사용해 주십시오”하며 헌금 하신 두 분이 계신다고 했습니다. 사람 통해 일하시는 하나님 의지하고 서로 돕자는 제안을 드려봅니다.

 

인류가 처음 당한 코로나19 사태로 앞으로 어떤 일이 일어날지 예측이 안 됩니다. 두 가지 제안을 드려보았습니다. 기도하십시다. 그리고 서로 돌아보았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장동신 목사(뉴저지교협 회장)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뉴스 목록

Total 10,749건 95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빨리 가려면 혼자가고,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 2020-06-23
김정호 목사 “코로나 팬데믹이후 목회변화-본질회복과 상생협력” 2020-06-23
웨체스터한인교협, 투병 안성국 목사에게 1만불 전달 2020-06-23
[1일] 뉴욕! 포스트 팬데믹, 교회는 어떻게 가야 하나? 2020-06-22
퀸즈장로교회, 안전한 현장예배 참석 가이드 2020-06-21
코로나에 대처하는 슬기로운 신광생활 2020-06-21
김정호 목사 "인생의 위기를 하나님의 기회로" 2020-06-21
미국장로교, 원주민과 흑인 총회장 선출 / 이문희 장로는? 2020-06-20
이민자보호교회 “연방대법원의 DACA 폐지 위헌결정 환영” 2020-06-20
뉴욕영락교회 교회이전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세심하심” 댓글(1) 2020-06-20
22일에 뉴욕시 재개방 2단계 - 주지사와 시장 의견 갈려 2020-06-17
뉴욕효신교회, 3개월만에 만난 모임에서 성도 간증 쏟아져 2020-06-17
뉴욕교협, '할렐루야 대회' 말고 '할렐루야 포럼' 연다 2020-06-16
뉴저지교협,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운 타주 교회도 돕는다 2020-06-16
철저한 예방지침 아래 재개방하는 롱아일랜드 지역교회들 2020-06-16
전 목사회 회장 고 김상태 목사 발인예배와 하관예배 2020-06-15
연방대법원, 이번에는 810만 LGBT 근로자 손들어 주다 2020-06-15
뉴욕센트럴교회 “100달러의 기적” 이웃 사랑 프로젝트 2020-06-15
황영송 목사와 흑인 목사의 대화 “교회가 사회정의의 전면에 나서야” 2020-06-13
코로나바이러스와 취소 문화, 코로나바이러스와 취소 문화 2020-06-13
조성훈 목사 “인종차별, 시대의 아픔을 끌어안고 변화시켜야” 2020-06-12
미국인의 27%만이 트럼프를 '신앙인'으로 본다 2020-06-12
김상태 전 목사회 회장, 64세를 일기로 소천 받아 2020-06-11
동부한미노회 “치유, 화합, 회복을 위한” 기도회 2020-06-11
뉴욕효신교회, 코로나19로 소수가 모여 장로 임직식 2020-06-11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안내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